[충북일보] 21대 후반기 국회부의장에 선출된 국민의힘 정우택(5선·69·청주 상당) 국회의원은 25일 "여러분 기대에 어긋나지 않도록 직분을 다할 수 있도록 든든한 부의장이 되도록 열심히 하겠다"며 "충북의 발전은 물론 여여 간 협치의 역할을 통해 대한민국이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정 의원은 이날 국회 본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결선투표 기준 96표 중 49표를 얻어 국회부의장로 뽑혔다. 정 의원과 함께 결선투표에 오른 서병수(70·부산 진갑) 의원은 47표에 그쳤다. 정 의원은 오는 27일 국회 본회의 의결을 거쳐 국회부의장직을 수행하게 된다. 임기는 21대 국회가 끝나는 2024년 5월까지다. 결선 투표에 앞서 진행된 이날 1차 투표에는 총 108명이 참여했으며 정 의원이 40표, 서 의원 39표로 각각 1, 2위를 차지해 결선에 올랐었다. 김영선(62·창원 의창) 의원은 23표, 홍문표(75·홍성·예산) 의원은 6표를 받았다. 이번 국회부의장 후보 선출은 국민의힘 몫인 국회부의장이었던 정진석(공주·부여·청양) 비상대책위원장의 사임에 따른 것으로 나이, 선수(選數)를 고려해 추대하던 전례
[충북일보] 시퍼런 그리움이 묻어난다. 그곳에 가 비로소 깨닫는다. 자연과 소통하며 생명의 소리를 듣는다. 파도와 바람, 새 소리가 들린다. 바다와 어우러져 아름답다. 걷다 보면 정겨운 마을들이 반긴다. 아슬아슬한 해안 절벽의 공포도 맛본다. 도린곁의 숨은 해변은 뜻밖의 선물이다. 해안선은 솔숲과 어우러져 다이내믹하다. 자동차 도로를 만나는 건 잠깐이다. 곳곳에서 때 묻지 않은 풍경이 반긴다. ***동해 '푸른 길'을 우수(雨水)에 걷다 2017년 2월18일. 80차 충북일보 클린마운틴 탐사회원들이 영덕 블루로드 B코스를 찾았다. 참가회원은 모두 45명이다. 오전 10시 40분. 들머리는 해맞이공원이다. 대게의 집게발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전망대 아래 조붓한 오솔길로 내려간다. 청정 바닷길을 걷는다. 태양은 이미 중천에 있다. 푸른 바다와 대비가 환상적이다. 잠시 기념촬영에 분주하다. 이내 걷기 시작한다. 걷는 내내 푸른 바다와 함께 한다. 바다를 곁에 끼고 걷고 또 걷는다. 오롯이 바다와 걷는다. 말 그대로 '블루로드(Blue Road)'다. 걷는 내내 쪽빛 바다를 시야에 담을 수 있는 탐방로다. 우수(雨에水)에 걸맞은 푸른 정취다.…
明황후가 된 우리고장 진천 출신 吳공녀의 본관은 보성(寶城)이고, 그 가운데 양무공파(襄武公派)에 속한다. 『보성오씨 양무공파 세보』 에 의하면 양무공파는 1세조 현필(賢弼)부터 9세 윤정(允貞)까지는 인명과 계보가 다소 불확실하다. 따라서 “구전 족보의 기록을 기재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후는 사실을 토대로 작성한 것으로, 10세 현우(玄祐), 11세 용권(用權), 12세 맹손(孟孫), 13세 자경(子慶·오황후 고조), 14세 연순(延純·오황후 증조) 등의 세계가 이어지고 있다. 14세 연순은 찬(璨), 희(希), 집(執) 등 3형제(15세)를 뒀고 이 가운데 ‘집’이 오황후의 조부가 된다. 그는 슬하에 오황후의 친부인 오척을 비롯해 비(備)·엄(儼)·한(한人+閒)·부(傅)·전(佺) 등 6형제(16세)를 뒀다. 이 가운데 오척은 맹선(孟璿), 숙선(淑璿) 등 두 아들(17세)을 뒀고, 이들이 오황후와 오누이간이 된다. 비·엄·한·부·전 등 오황후의 삼촌에 해당하는 5형제는 모두 현감 이상의 품관에 오르는 등 입신출세하였다. 오비는 문과에 급제한 후 예조정랑(정5품)을 거쳐 통훈대부(정3품)에 올랐다. 오엄은 연산현감(連山縣監)을 역임하
정유년 닭의 해가 시작됐다. 닭이 우리 역사에 처음 등장한 것은 고대 중국의 진나라 진수가 쓴 『삼국지』이다. 그 가운데 한전조에는 다음과 같은 표현이 등장한다. ‘出細尾鷄 其尾皆五尺餘’(출세미계 기미개오척여), 의역하면 ‘동이 즉, 한국에서는 가는 꼬리의 닭이 나오는데, 그 꼬리의 길이가 모두 5척 남짓하다’ 정도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지』가 쓰여진 원삼국시대에도 닭이 길러졌음을 알 수 있다. 닭은 우리나라 고전문학 작품 속에도 등장한다. 의 크라이막스는 아버지의 눈을 띄게 하기 위해, 심청이가 공양미 3백석에 팔려가는 대목이다. 그날 심청이는 이렇게 자탄했다. ‘닭아, 닭아, 우지마라, 네가 울면 날이 새고 / 날이 새면 나 죽는다. 나 죽기는 섧지 않으나 / 의지 없는 우리 부친, 어찌 잊고 가잔 말가.’ 닭과 과련된 우리말 중에는 잘못 쓰이고 있는 것도 있다. ‘영계’라는 표현이다. 많은 사람들이 젊은 사람을 뜻하는 속어인 영계를 영어 Yong과 한자 닭계 자의 결합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영계는 우리말 단어 ‘연계’가 잘못 알려져 사용되는 경우다. 연계는 한자 ‘연할 연’(軟)자 와 닭계(鷄)자로, 연한 닭이라는 뜻이다. 연계의 반대
한확(韓確 , 1403~1456)은 청주가 관향으로, 태종~세조 등 4임금을 모셨다. 그는 벼슬이 좌의정에 이르고, 성종의 외할아버지가 되는 등 영달을 누렸다. 그 바탕에는 여말선초의 공녀(貢女) 제도가 있었다. 그는 누이에 이어 막내 여동생(한계란)을 명궁에 공녀로 전헌하였다. ´그 오라비 한확이 약을 주니, 한씨가 먹지 않고 말하기를, “누이 하나를 팔아서 부귀가 이미 극진한데 무엇을 위하여 약을 쓰려 하오.” 하고, 칼로 제 침구(寢具)를 찢고 갈마 두었던 재물을 모두 친척들에게 흩어 주니, 침구는 장래 시집갈 때를 위하여 준비했던 것이었다.’- 한양도성 안 사람들은 한계란의 그런 명궁행을 ‘생송장’이라고 부르며 슬퍼하였다. ‘도성 안 사람과 사녀(士女)들이 한씨의 행차를 바라보고 탄식하여 말하기를, “그의 형 한씨가 영락궁인(永樂宮人)이 되었다가 순장당한 것만도 애석한 일이었는데, 이제 또 가는구나.” 하고, 눈물을 흘리는 자도 있었으며, 이때 사람들이 이를 생송장(生送葬)이라 하였다.’- 조선 조정은 공녀 간택에 대한 대가로 친권자인 친부에게 승진의 혜택을 줬다. 우리고장 진천 사람이면서 자신의 딸을 명궁에 공녀로 진헌한 오척(吳倜)도
고려 원종은 무신들에게 빼앗긴 권력을 되찾기 위해 수도 개경으로 환도하였다. 원종은 그 과정에서 여원(麗元) 연합군의 힘을 빌렸고, 고려는 그 대가로 원의 부마국이 되었다. 원나라는 이때부터 사위나라 고려에 대해 공녀(貢女) 등 각종 공물을 요구하였다. 고려 공녀의 표면적 구실은 몽고가 전쟁 수행 중에 획득한 수십 만 명의 포로병들에게 배우자를 마련해준다는 일종의 위무책이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고려 여자에 대한 야욕 충족과 반몽 의지를 무기력하게 하려는 고등술책이 숨어 있었다. 1275년(충렬왕 1) 10인의 처녀를 보낸 것을 시초로, 공민왕 초기까지 80여 년 동안 수많은 고려의 여자들이 원나라로 끌려갔다. 공녀에 따른 폐단은 매우 대단, 충렬왕은 나라 안의 혼인을 금하기도 하였다. 또 1287년 좋은 집안의 처녀들은 먼저 관에 보고한 뒤에야 시집을 보내도록 명령을 내렸다. 공녀는 주로 13~16세의 처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금혼령의 여파로 당시 고려에는 열 살이 되면 혼인을 서두르는 조혼 풍습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머리를 깎아 중이 되기도 하고, 억울함에 스스로 목숨을 끊기도 하였다. "동녀(童女)의 수는 많게는 40~50명에 이르
땅이름 가운데 인문지명은 설화나 전설을 바탕으로 한 것이 많다. 충북 진천군 일대에는 원나라 황후에 관련된 전설이 많이 구전되고 있다. 다만, 구전을 여러 번 거친 탓인지 정형화된 것은 없고 이월면 노원리의 궁골 전설, 역시 이월면 노원리의 원황후 궁터 전설, 덕산면 구만리의 구만리 설화 등 3종류의 전설이 혼재하고 있다. 『이야기 충북』(2004)에 수록된 궁골 전설은 원나라 세조(世祖) 홀필렬(忽必烈·쿠빌라이칸)이 황후감을 진천 이월면 노원리에서 찾았고, 그 기쁨으로 기황후(奇皇后·?~?)가 탄생한 그곳에 황후의 부모를 위해 궁궐을 세웠다는 줄거리를 갖고 있다. 에 실려 있는 원황후 궁터 전설은 『조선환여승람』(1910∼1937) 진천군 고적조를 인용. 이월면 노원리 산 23-1 일대가 원나라 황후 오씨가 자신의 부모를 위해 궁골에 지어준 터라고 소개하고 있다. '진천의 구비문학'(2004)에 수록된 구만리 설화는 원나라 세조가 배후자를 찾던 끝에 진천 덕산면에서 기씨 처녀를 만났고, 날이 어두워 9마리의 말과 함께 구만리에 머물렀기 때문에 '구만리'라는 지명이 생겨났다는 내용이다. 3개의 전설은 각각 원나라x기황후x노원리, 원나라x오황
역대 민선 청주시장 가운데 나기정(羅基正) 시장은 유독 문화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재임기간 동안 '문화시장'을 자임하였고, 그 중심에 청주 국제공예비엔날레와 직지가 있다.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는 내년 벌써 10회를 맞이 하고, 직지는 지난 200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직지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데는 나시장의 뚝심이 크게 작용하였다. 나시장이 올 상반기에 펴년 '세계문화도시의 꿈' 자서전을 보면 그 과정에는 곡절이 적지 않았다. 유네스코 프랑스위원회는 처음에는 직지의 소유국으로 유네스코 등재 작업에 협조적이었다. 그러나 1999년 2월 유네스코 프랑스위원회는 갑자기 "등재 의사가 없다"고 알려왔다. 당시 청주지역 일부 시민단체가 직지반환 서명운동을 전개하였고, 이것이 유네스코 프랑스 위원회와 프랑스 국립도서관을 자극하였다. 그해 6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제4회 유네스코 기록유산 자문회의에서 직지는 의안으로 상정되지 못했다. 나시장은 이에 좌절하지 않고 2001년 6월 제5회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자문회의를 26개국 45명의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아시아 최초로 청주에서 개최하였더. 이때 직지는 기록물 소유국이 아닌…
조선시대 수령(守令)은 국왕의 대리 통치자로, 그 이름은 군수(郡守)와 현령(縣令)에서 한 글자씩 따왔다. 수령이 지방 임지에 갔을 때 가장 먼저 받는 것은 해당 고을의 인문과 자연지리가 담겨진 지도였다. 조선후기에는 방안식과 회화식 등 크게 2종류의 지도가 발달하였다. 전자를 대표하는 것은 잘 알려진 로,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에 비해 후자는 정확도가 다소 뒤떨어지나 고을 전체를 1쪽의 그림지도로 볼 수 있는 강점이 있다. 회화식 지도를 그리는 데는 지방 화원이 주로 동원되었다. 이들은 지도를 정확히 그리지는 못했으나, 실경 산수화에 익숙한 솜씨를 살려 고을 전체의 경관과 인문적 이미지를 잘 묘사하였다. 영동권 황간면 한천팔경을 찾으면 "이런 곳에 감입곡류(嵌入曲流)의 비경이 숨겨져 있다니"라며 놀라게 된다. 그러나 한천팔경은 조선시대~일제 강정기 고지도에 거의 빼놓지 않고 등장한다. 한천팔경을 묘사한 조선시대 고지도로는 (조선후기), (1872), (조선후기), (조선후기), (조선후기), (1923) 등이 있다. 이들 고지도가 한천팔경 8개 지명을 모두 표기한 것은 아니다. ···는 월류봉과 용연대, 는 월류봉과 사군봉, 는 월
[충북일보] 전남 순천의 조계산(해발 884m)은 넉넉하다. 우선 산세가 부드럽다. 만만할 정도로 허술해 보인다. 대부분 능선을 따라 길이 나 있다. 그렇다고 너무 만만하게 볼 산은 아니다. 등산로 대부분은 울창한 수목으로 터널을 이룬다. 여름철에는 시원한 그늘이 돼 준다. 가을엔 단풍이 곱게 물들어 아름답다. 겨울철엔 이따금씩 눈이 내려 설경을 선물하기도 한다. 봄에 피는 철쭉은 장관이다. 일요일 아침 일찍 눈을 뜨니 새벽 5시다. 배낭을 챙겨 집을 나선다. 미리 도착한 일행의 차에 오른다. 얼마 가지 않아 접촉사고가 난다. '액땜'으로 여기고 길을 달린다. 남청주IC를 나와 경부와 호남고속도로를 번갈아 달린다. 휴게소에 들러 생리적인 문제를 해결한다. 고속도로를 달리며 밖을 본다. 지역에 따라 안개가 교차한다. 주암호 영향인지 순천의 아침도 자욱하다. 구불구불 주암호를 끼고 달린다. 굽이굽이 고갯길을 이어 송광사(松廣寺)에 다다른다. 청주를 출발한지 4시간만이다. 일주문 신축공사가 한창이다. 훨씬 커진 규모가 위압감을 준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편백나무 숲을 지나간다. 쌀쌀한 공기가 피부에 와 닿는다. 아직 남은 단풍잎 몇 개가 반긴다
우암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은 19세에 목은의 후예인 이덕사(李德泗)의 딸 한산이씨를 부인으로 맞았다. 이후 25세까지 율곡의 문인인 사계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의 문하에서 《근사록(近思錄)》ㆍ《심경(心經)》ㆍ《가례(家禮)》 등을 배웠고, 사계가 작고하자 그의 아들인 김집(金集 1574~1656)에게 수학하였다. 이때부터 전적으로 주자의 글을 읽으며 주자의 방식을 행동 양식으로 추종하였다. 같은 시기에 동문수학한 이로 송준길, 윤선거, 이유태(李惟泰) 등이 있다. 우암은 비교적 늦은 나이인 27세에 생원시에 장원 급제하면서 관료로서의 첫발을 디뎠다. 우암은 2년 후인 29세(1635)에 뒷날 효종(孝宗)이 된 봉림대군(鳳林大君)의 사부(師傅)가 되어 학문을 강론하는 등 사적으로 특별한 인연을 맺었다. 이런 우암은 정치적 고비가 있을 때마다 여러 번 낙향을 하였다. 따라서 조선왕조실록에 이름이 3천여번이나 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에 머문 시간은 많지 않았다. 대신 우암은 중앙에 포진한 제자들은 통해 정국을 쥐락펴락 하였다. 우암은 병자호란(1636)의 발발로 인조를 따라 남한산성으로 피란하였으나 화의가 성립되고 소현
한국 현대신문사를 논하려면 천관우(千寬宇, 1925~1991)와 송건호(宋建鎬, 1927~2001) 두 거목을 반드시 지나가야 한다. 공교롭게도 두 인물은 각각 우리고장 제천시 청풍면과 옥천군 군북면 출신이고, 연령대도 비슷하다. 최근 제천시와 옥천군이 두 인물을 기념하는 사업을 약속이나 한 듯이 거의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옥천군은 얼마전 '청암 송건호 기념사업회'를 창립한데 이어 군북면 비야리 생거터에 표지석을 세우기로 했다. 제천시는 지난 11일 제천시청에서 백산학회(회장 하문식 세종대 교수)와 공동으로 '후석 천관우의 한국사 연구와 역사 인식'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과거의 영화가 그리운 청풍 고을에서 천관우 같은 언론 거목이자 대사학자가 나올 수 있었던 배경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천관우는 영양(潁陽) 천씨 군수공파 명선(命善, 1896~1955)의 아들로 청풍 북진(北津)에서 태어났다. 영양 천씨의 시조는 임진왜란 때 조선에 출병하였다가 귀화한 명나라 장수 천만리(千萬里, 1543~·)로, 천관우는 그의 16세손이 된다. 그는 중국 지금의 사천성 천고봉(千古峰) 밑에 살았다 하여 성을 천씨로 삼았다. 그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여
한확(韓確 , 1403~1456)은 우리고장 청주가 관향으로, 태종~세조 등 4임금을 모셨다. 그는 벼슬이 좌의정에 이르고, 성종의 외할아버지가 되는 등 말 그대로 일생의 영달을 누렸다. 그 바탕에는 여말선초의 공녀(貢女) 제도가 있었다. 한확에게는 최소 2명의 누이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그 가운데 손위누이는 태종대에 명나라 공녀로 진헌돼 영락제(명 태종)의 후비인 여비(麗妃)가 됐으나 영락제의 급서와 함께 순장을 당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확의 막내 여동생은 명나라 선덕제의 공녀로 간택되는 운명을 맞았다. 그녀는 미색(美色) 뛰어난 것으로 소문이 나있었고, 따라서 제 4차 공녀 때 한양도성을 떠나 명나라로 가기로 돼 있었다. 그러나 몸이 갑자기 아파 명나라 출발이 연기되었다. '처녀 한씨(韓氏)는 한영정의 막내딸이다. 맏딸은 명나라 태종 황제의 궁에 뽑혀 들어갔다가, 황제가 죽을 때에 따라 죽었으므로, 창성(昌盛)과 윤봉(尹鳳)이 또 막내딸이 얼굴이 아름답다고 아뢰었으므로, 와서 뽑아 가게 되었는데, 병이 나게 되어(하략).'- 공녀가 된다는 것은 생이별을 의미한다. 나중에 이름이 한계란(韓桂蘭)으로 확인되는 한확의 막내 여동생도 이를 모
충주시 엄정면 백운산에는 백운암(白雲庵)이라는 전통사찰이 위치한다. 이 사찰은 보물 제 1527호인 '철조여래좌상'으로 유명하다. 대웅전에 봉안된 이 철불(鐵佛)은 원래 인근 억정사지에서 옮겨온 것으로 추정되고, 제작 시기는 나말여초이다. 백운암이 최근 들어 또 다시 세인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사찰의 창건주는 구한말 고종 때 세인의 입에 오르내렸던 진령군(眞靈君, 혹은 臻靈君) 이씨이다. 그녀는 국운이 다해가던 19세기말 충주지역의 무당이었다. 그녀는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 명성황후가 감곡과 노은면 등 충주지역으로 피난 왔을 때, 곧 환궁할 것임을 예언했다. 이 예언은 현실이 됐고, 이에 감복한 명성황후는 그녀에게 진령군 여대감(女大監)이라는 벼슬을 내렸다. 그녀와 명성황후의 관계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명성황후는 그녀를 궁궐로 불려 올렸다. 그러자 그녀는 관우(關羽)의 영정을 모시겠다고 황후를 설득, 아예 궁궐 안에 관왕묘(關王廟)를 건립하고 그곳에 눌러앉아 살았다. 황현(黃玹, 1855~1910)은 『오하기문(梧下記聞)』에서 두 여자의 관계를 이렇게 적었다. '이로 말미암아 크게 현혹되어 서울로 불러들여 관제묘의 북쪽에 살도
우리 역사에 공녀(貢女)가 처음 등장한 것은 고려 후기다. 고려 원종은 무신들에게 빼앗긴 권력을 되찾기 위해 수도 개경으로 환도하였다. 원종은 그 과정에서 원의 힘을 빌렸고, 고려는 그 대가로 부마국이 되었다. 원나라는 이때부터 사위나라 고려에 대해 해동청(海東靑·매) 등 각종 공물(貢物)을 요구하였다. 공물 목록에는 공녀(貢女)도 포함돼 있었고, 그것의 표면적인 이유는 원나라 병사 장가들기였다. 원나라를 무너트리고 중원의 패자가 된 명나라도 조선 전기까지 공녀를 요구했다. 조선은 영락제(永樂帝)을 시작으로 선덕제(宣德帝)까지 26년간 총 7차례에 걸쳐 1백여명의 공녀를 받쳐야 했다. 명나라의 제 3차 조선 공녀 요구는 1417년(조선 태종 17)에 있었고, 이때 2명의 10대 소녀가 선발되었다. 《태종실록》은 이에 대해 '중국에 진헌할 처녀를 가려 뽑게 하였더니, 황씨·한씨를 상등으로 삼았다. 황씨는 용모가 미려하니 고 부령 황하신의 딸이고, 한씨는 선연하니 고 지순창군사 한영정의 딸이었다'라고 적었다. 이 가운데 황하신의 딸은 처녀가 아니었다는 이유로 외교문제로 비화되기도 하였다. '황제가 황씨의 처녀 아님을 힐문하니, 그제야 이르기를, "
[충북일보] 가을볕이 점점 따가워지고 있다. 산객들이 울긋불긋 단풍을 찾아 떠난다. 단풍에 빠진 산객들이 산허리를 메운다. 나무와 사람이 어울려 오색 빛을 띤다. 가을 낭만에 빠져드는 계절이다. 충북일보 클린마운틴 탐사팀이 시월의 치악산을 찾았다. 오색으로 무장한 단풍세력이 능선을 탄다. 시작이지만 그 기세가 격렬하다. 자연이 그리는 가을 수채화를 기대하게 한다. 2016년 10월14일 오전 6시 청주를 떠난다. 3시간 뒤 치악산 황골탐방지원센터에 도착한다. 새롭게 단장한 주차장이 깔끔하다. 오전 9시5분 입석사를 향해 발을 내딛는다. 입석사까지 시멘트포장길이 30여분 이어진다. 급한 경사도 계속된다. 길옆으로 누리장나무 열매가 까맣다. 입석대를 한 번 올려보고 간다. 풍경이 고즈넉하다. 물 한 모금 마시고 숨 한 번 크게 쉰다. 입석사에서 황골삼거리까지 길은 부연설명이 필요 없다. 순수한 오르막이다. 급한 경사의 너덜 고개를 오른다. 쥐너미재 주변 운무가 몽환적이다. 원주시내 전경이 눈에 들어온다. 능선 삼거리에 도착한다. 완만해진 산길에 단풍이 하나 둘 물든다. 아직 미완이지만 그런대로 보기 좋다. 비로봉 정상을 올려다본다. 마치 시루를…
중국과 바티칸 교황청이 머지 않아 수교를 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가톨릭 영세자는 이승훈(李承薰, 1756~1801)이다. 그는 1783년(정조 7) 12월부터 40여일 동안 북경에 머무르면서 필담으로 천주교 교리를 배운 후 이듬해 1월 북경교구 그라몽(Louis de Grammont) 신부로부터 영세를 받았다. 당시 조선은 중국교구에 속해 있었다. 그는 1784년 귀국해 임의로 천주교 제도를 만들어 미사를 올렸다. 그러나 문득 어느 날 그 같은 행위가 천주교 교회법에 합치하는 것인지 의문이 생겼다. 그는 믿음이 깊은 윤유일(尹有一)을 보내 천주교 북경교구장 구베아(Alexander de Gouvea) 주교에게 유권해석을 요청했다. 구베아 주교는 "교회법에 어긋나는 행위"라며 책망했다. 이때부터 첫 영세자 이승훈을 중심으로 외국 성직자 영입운동이 일어났다. 구베아 주교는 이에 화답해 처음에는 도스 레메디오스(dos Remedios) 신부를 조선에 파견하고자 했다. 그러나 레메디오스 신부는 조선인 밀사를 만나지 못하면서 조선 입국에 실패했다. 그 후속으로 선발된 인물이 조선 최초의 외국인 선교사인 중국인 주문모(周
속리산 법주사~세심정 구간에 '세조길'이 개설돼 방문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조선의 4대 임금 세조는 1464년 2월 신미대사(信眉大師·1403-1479)를 만나기 위해 속리산 복천암을 찾았다. 약간 다르지만 이때 거둥[擧動]한 길이 최근 개설된 세조길의 바탕이 됐다. 세조길은 평소의 등산로가 아닌, 법주사 수원지의 남쪽 사면으로 우회하고 있다. 『세조실록』은 당시 세조의 행적을 다음과 같이 적었다. '거가가 보은현 동평(東平)을 지나서 저녁에 병풍송(屛風松)에 머물렀다. 중 신미가 와서 뵙고, 떡 1백 50동이를 바쳤는데, 호종하는 군사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임금이 속리사(俗離寺)에 행행하고, 또 복천사에 행행하여, 복천사(福泉寺)에 쌀 300석, 노비 30구, 전지 200결(結)을, 속리사에 쌀·콩 아울러 30석을 하사하고 신시(申時)에 행궁으로 돌아왔다.'- 2개 인용문에 등장한 지명은 보은현 동평(東平)·병풍송(屛風松)·속리사(俗離寺)'복천사(福泉寺) 등이다. 동평은 보은지역 동쪽에 있는 들[野,] 복천사는 지금의 복천암을 지칭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 그리고 '병풍송'은 '머물렀다', '행궁으로 돌아왔다'는 서술어가 뒤따르
신유박해 떼 황사영(黃嗣永, 1775-1801)은 제천시 봉양면 구학리 배론의 토굴(土窟)로 피신, 이곳에서 '황사영 백서'를 작성하였다. 이때 토굴 안의 황사영에게 신유박해의 참상과 바깥 정보를 전달해준 인물이 김한빈(金漢彬, 1764-1801)이라고 전회에 밝혔다. 토굴의 사전적인 의미는 '땅을 파서 굴과 같이 만든 큰 구덩이'이다. 이런 토굴은 수평굴인 횡혈(橫穴)과 수직굴인 수혈(竪穴)로 나눠진다. 배론 토굴은 횡혈로 그리 깊지는 않다. 배론 토굴을 만드는 데는 김한빈보다 당시 이곳에서 옹기점을 운영하던 김귀동(金貴同, ·~1802)이라는 인물이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김귀동이 배론을 찾은 목적에 대해서는 사료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신유박해에 관한 정부측 기록을 수집·정리한 책으로 『사학징의(邪學懲義)』가 있다. 줄여서 '징의'라고도 부르는 이 책에는 당시 천주교 신자들의 사회적 신분·직업 및 입신 동기, 신앙활동 등의 내용이 기록돼 있다. 『사학징의』는 김귀동 자백 내용을 '저는 본디 고산(高山) 사람입니다. 제천(堤川)의 흙과 나무가 좋다는 말을 듣고 옹기를 구어 생활의 터전을 마련하려는 계획으로 올해 2월 초승에 배
[충북일보] 새벽 3시 적막을 깨며 새벽을 달린다. 청주를 떠나 강원도 진고개 정상휴게소에 도착한다. 승용차 두 대가 고요 속에 휴식중이다. 아직 동이 트지 않은 어두운 산 속으로 몸을 들이민다. 동트기 전 산속 고갯마루가 한산하다. 진고개 정상휴게소 왼쪽으로 계단을 오르면 매표소가 있다. 이번 산행의 들머리다. 이곳에서 오른쪽 길로 들어서면 고랭지 채소밭이 나온다. 하얀 쑥부쟁이와 보랏빛 쑥부쟁이가 무리로 반긴다. 그 옆에서 각시취가 손짓한다. 비가 오면 질퍽질퍽해 진고개란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더 이상 '진' 고개가 아니다. 네모난 돌들이 바둑판처럼 놓여져 옛일을 알기가 어렵다. 이곳엔 예부터 바람이 많이 분다. 우리가 찾은 날에도 시원한 바람이 서성거렸다. 본격적인 산행을 시작한다. 5분여를 지나니 고랭지 채소밭이다. 10여분을 더 가니 나무계단이 나온다. 나무계단이 끝나면 단풍나무 밭이 이어진다. 단풍은 이제 겨우 한잎 두잎 발그레 물들고 있다. 비교적 평탄한 길이다. 잘 다져진 길을 따라 2시간 가까이 오른다. 내내 우거진 숲길이다. 바위라곤 찾아볼 수 없는 육산의 모습이다. 드디어 노인봉(1천338m) 정상에 도착
1801년(순조 1) 신유박해가 일어났다.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貞純王后)는 수렴청정 기간 동안 권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천주교를 극심하게 탄압했다. 대대로 노론 집안이었던 그녀(김한구 딸)는 집권 보수세력인 노론과 손을 잡고 천주교를 믿는 사람이 많은 반대세력 남인을 무자비하게 도륙했다. 이 과정에서 남인계열이었던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집안이 풍비박산 났다. 약종(若鍾) 이 사형에 처해졌고 약전(若銓)은 흑산도, 약용은 강진으로 유배됐다. 정약용가의 맏사위는 황사영(黃嗣永, 1775~1801)이라는 인물이다. 그는 정약용 맏형인 약현(若鉉)의 딸 명련(命連)과 혼인했다. 그는 신유박해가 발생하자 제천 배론으로 피신, 신학당 뒤편의 토굴에 은거했다. 그는 이 토굴에서 신유박해 참상과 교회재건 방책 등의 내용이 담긴 '황사영 백서'를 써, 중국 북경의 구베아 주교에게 전달하려 했다. 백서는 62×38㎝ 크기의 명주천으로, 그 위에 1만3천300여자의 한자를 적었다. 백서의 내용 중에는 '종주국인 청나라 황제에게 청해 조선도 서양인 선교사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할 것', '이것이 여의치 않으면 조선을 청나라의 한 성(省)으로 편입
테레사 수녀가 가톨릭 성인(聖人, sanctus)의 반열에 오른 것을 계기로 한국 가톨릭 성인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한국 가톨릭에는 103위가 성인의 반열에 올라있다. 가톨릭 교회법상 성인의 반열에 오르려면 물리적, 윤리적 기적(奇蹟, miraculum)을 행하였다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성인의 반열에 오른 103위는 기적 확인 과정을 생략하고 지난 1984년 복자에서 성인의 반열에 올랐다. 로마 교황청은 목숨과 맞바꾼 신앙심 자체를 기적으로 판단하였다. 한국 가톨릭 103위 가운데 충북과 연고가 있는 인물의 한 분으로 장주기(張周基, 1803∼1866) 요셉이 있다. 수원이 고향인 장주기는 1820년대 제천시 봉양읍 구학리의 배론으로 이주하였다. 1855년 그의 돈독한 신앙심은 자신의 집이 신학교로 사용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우리나라 최초의 신학교인 배론신학교는 이 같은 배경 아래 탄생하였다. 배론신학교의 초대 교장은 프랑스 파리 외방교회 소속의 푸르티에(Pourthie, 한국명 신요안, 1830-1866)로, 1855년 6월 중국 상해를 거쳐 바닷길로 조선에 입국하였다. 배론신학교의 교수직은 프랑스 출신의 또 다른 신부인 프티
충북 불교의 '큰집'인 법주사가 요즈음 언론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법주사는 충북도의 요청을 수용, 관광진흥 차원에서 문화재관람료를 폐지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인적 해탈을 위해 수행하는 것은 불교에서는 소승'(小乘), 널리 중생 구제를 목표로 하는 것은 대승(大乘)이라고 부르고 있다. 비유가 적절할지 모르지만 법주사의 이번 결정은 대승적인 것으로 평가받을 만하다. 속리산 법주사는 국보와 보물급 유물을 많은 간직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 가운데 국보 제 64호 석연지(石蓮池)가 있다. 석연지의 겉면에는 활짝 핀 연꽃이 조각되어 있고, 그리고 물그릇 모양의 내부는 많은 양의 물을 담수할 수 있을 정도로 넓다. 그래서 석연지라는 이름을 얻었다. 대체로 통일신라 때인 8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석연지 조각의 정수는 몸돌 겉면의 연꽃 문양이다. 겉면 하부에는 돌아가며 각 면마다 2장의 꽃잎이 아래로 향해 강한 질감으로 돋을새김 돼 있다. 그 위에는 연꽃 무늬 8개가 역시 돋을새김 되어있다. 그리고 맨 위에는 전통주택에서 볼 수 있는 난간 모습의 조형물이 올려져있다. 석연지의 용도와 관련하여 그 안에 물을 채우고 연꽃을 띄웠다는 설이 구전
[충북일보] 조선시대에는 왕이 흉(서가)할 경우 임시 관청인 실록청을 꾸려 선대 왕의 실록을 간행, 사고(史庫)에 보관하였다. 역대 왕의 실록 가운데 '지리지'의 체계까지 갖추고 있는 실록은 이 유일하다. 바로 이다. 세종은 보위에 오르자마자 중앙집권 강화정책을 강하게 추진하였다. 세종은 지방의 현황을 속속들이 파악하려 했고, 그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관찬 지리지인 (新撰八道地理志)이다. 는 를 바탕으로, 누락된 내용까지 보완해 단종 2년(1454)에 완성되었다, 8권 분량의 는 고을마다 다소의 편차가 있지만 지방관의 인원, 연혁, 고을의 별호, 진산과 명산대천, 고을의 사방 경계, 호구(戶口)와 군정(軍丁)의 수, 성씨, 토질과 전결(田結), 특산물, 약재, 역, 봉수, 산성, 제언(堤堰), 사찰 등의 순서로 기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다소 의외로 약재로 포함돼 있다. 세종은 애민(愛民) 정책의 일환으로 의료복지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다. 그러나 선진 의료문화로 수입한 중국 의약서 내용과 조선의 약초 이름·약효 등이 달라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었다. 세종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내의 노중례(盧重禮,?~1452)를 두 번이나 명
[충북일보] 돈이나 재물을 쓰는데 매우 인색을 사람을 가리켜 '자린고비'라고 한다. 그런 자린고비는 설화나 전래동화에 매우 다양한 행태로 등장한다. 먼저 '생선 매달고 쳐다보기'는 반찬값을 아끼려고 하는 행동이고, '파리 쫓아가기'는 파리 몸에 묻은 된장과 간장을 되찾으려는 동작이다. 또 '부채를 펴 들고 목을 움직이기'는 부채를 아끼려고 하는 모습이고, '생선 비늘 묻혀서 국끓이기' 역시 생선 살 돈을 아끼려고 하는 동작이다. 이밖에 '무장아찌를 아주 잘게 썰거나 통째로 상에 놓기'는 무장아찌를 먹지 못하게 하려는 모습이고, '엉덩이나 주먹으로 떡 찧기'는 절구와 절굿공이에 떡이 묻는 것이 아까워서 하는 행동이다. 이 가운데 일반에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생선 매달고 천장 쳐다보기'다. 몇 년전 TV 전파를 타면서 자린고비의 전형적인 행동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국문학자들은 자린고비의 어원을 다소 다르고 풀고 있다. '겨른고비' → '저른고비' 혹은 '자른고비' →'자린고비' 순으로 변한 것으로 보고 있다. 뒷말 '고비'는 한자 '죽은 아비 考(고)'와 '죽은 어미 비(女+比)에서 온 말로 본다. 그리고 앞말 '자린'은 제사나 차례…
[충북일보] 오는 30일 본보와 충북리더스클럽이 주최하는 '14회 충북경제단체 친선골프대회'가 오전 11시 30분부터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그랜드 컨트리클럽(그랜드 CC)에서 열린다. 대회는 경제인들의 친목 도모와 상호 간의 다양한 정보교류를 통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여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대회는 도내 경제단체 회원과 재경 경제인 등 160여 명이 40개 팀을 이뤄 신페리오 방식으로 치룬다. 라운딩 이후 시상식과 김영환 충북도지사 초청 만찬, 행운권 추첨은 오후 6시 30분부터 진행된다. 시상식은 △메달리스트 △우승(남·여) △준우승(남·여) △니어리스트(남·여) △롱게스트(남·여) 수상자에게 트로피와 부상이 각각 주어진다. 가장 멋지게 옷을 입은 참가자인 △베스트드레스상(남·여) 수상자에게는 부상이 수여된다. / 성지연기자
[충북일보] 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까지 충북 청주시 소재 충북대학교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주관한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렸다. 그러자 지역 곳곳에서 '무슨 일이 있느냐'는 문의전화가 빗발쳤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는 이날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린 배경에 대해 "기존에 국가재정전략회의는 국무총리와 장·차관 등 국무위원 중심으로 열렸다"며 "이번에는 다양한 민간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정책의 현실 적합성을 높이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해도 왜 굳이 충북대에서 이번 회의가 열렸어야 했는지 궁금증은 해소되기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또 하나의 특징은 회의 장소가 충북대라는 점"이라며 "기존에는 주로 세종청사나 서울청사에서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었는데, 충북대를 이번에 택한 이유는 지방 발전, 지역 인재 육성을 포함한 지방시대와 연계해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고자 하는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 또한 대통령의 의지라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일반 시민들의 궁금증을 해소시키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MZ세대인 충북대 학생들과 오찬 간담회를 열어 청년일자리, 지역인재 육성 등의 고민과
[충북일보] 충북 도내 최대 규모의 공연장인 가칭 '충북아트센터' 건립 사업에 본격적인 시동이 걸렸다. 오는 2026년 착공을 목표로 기본계획 수립, 타당성 조사, 중앙투자 심사 등의 절차를 밟게 된다. 26일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 4월부터 충북아트센터 건립을 위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이 진행 중이다. 다음 달 중순 마무리되며 용역을 통해 세운 기본계획에는 공연장 등 규모, 운영 방안, 경제성 검토 등이 담긴다. 도는 이 계획을 타당성 조사에 들어간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제출할 예정이다. 앞서 도는 지난 7월 행정안전부에 타당성 조사를 의뢰했다. 총사업비 500억 원 이상이 투입되는 신규 사업은 의무적으로 타당성 조사를 받아야 한다. 충북아트센터 건립에는 총 2천300억 원이 소요된다. 연구원은 내년 4월까지 경제성과 재무성, 정책적 사업 추진 가능성 등을 분석한다. 도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 같은 해 상반기 행안부에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를 신청할 방침이다. 심사를 무난히 통과하면 충북아트센터 건립을 위한 준비를 마친 뒤 오는 2026년 첫 삽을 뜬다는 계획이다. 오는 2028년 완공을 목표로 잡았다. 도는 이런 절차가 차질 없이
[충북일보] "산업 현장은 치열한 전쟁터라 조용해 보이지만 끊임없이 경쟁력을 개발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이재진(67) ㈜ATS(에이티에스) 대표는 기업의 생존을 위해선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ATS는 국내 자동차 플라스틱부품 업계 1위 기업으로 2004년 설립해 20년간 끊임 없이 달려왔다. 주력 제품은 초정밀 사출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용 클립(Clip)과 패스너(Fastener)등 자동차 플라스틱 부품이다. 이재진 대표는 "클립, 패스너 등 플라스틱 부품과 연료 부품 분야로 두 가지 트랙을 사업 아이템으로 갖고 있다"며 "보통 300가지 정도의 부품이 매월 생산되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에이티에스는 지난 2022년 국내 완성차 업체 2곳이 필요로 하는 부품 점유율의 50%를 넘어섰다. H사의 1대에 사용되는 내장·외장용 클립 100개중 50개 이상은 에이티에스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는 의미다. 이재진 대표는 "신차 개발은 2년을 앞두고 이뤄진다. 올해 기준으로 2026년 모델링이 나오면 그에 필요한 부품을 부품 회사들이 2~3년전부터 개발하기 시작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 차의 디자인 등에 맞춘 개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