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도 가도 붉은 황토길 / 숨막히는 더위뿐이더라 // 낯선 친구 만나면 / 우리들 문둥이끼리 반갑다. // 천안 삼거리 지나도 / 쑤새미 같은 해는 서산에 남는데/…/ 발꼬락이 또 한개 없다. // 앞으로 남은 두 개의 발꼬락이 잘릴 때까지 / 가도 가도 천리 먼 전라도길.' 문둥병 시인 한하운(韓何雲·1920~1975)이 1949년 '신천지'에 발표한 '전라도길-소록도 가는 길에'라는 시의 일부다. 소록도로 가는 길이 마치 광야의 고행처럼 묘사돼 있다. 다음 시 '벌'은 일반에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한하운의 또 다른 시다. '죄명(罪名)은 문둥이... / 이건 참 어처구니 없는 벌이올시다. // 아무 법문(法文)의 어느 조항(條項)에도 없는 / 내 죄를 변호할 갈이 없다…' 시 '소록도 가는 길'에서는 '붉은 황토길'과 '쑤새미 같은 해'가 공간과 시각적으로 강렬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반면 시 '벌'은 '내 죄를 변호할 갈이 없다'는 표현에서 보듯 천부인권적인 의식이 잘 드러나 있다. 문둥병의 본래 이름은 발견자 한센(G.A. Hansen)의 이름을 딴 '한센씨병'이다. 조선시대에는 이 한센씨병을 '나병'(癩病) 또는 '나질'(癩疾)이라고 불렀다. 실
북한 황해도 동북부에 곡산이라고는 곳이 있다. 지명사전은 곡산에 대해 '고구려 때에는 십곡성(十谷城)이라 불렸고, 통일신라 때는 영풍군(永豊郡), 고려시대에는 곡주(谷州)로 불렸다'고 적고 있다. 조선 전기에는 지명의 변동이 심했다. 태조 때는 현비 강씨의 고향이라고 해서 '곡산도호부'로 승격했다. 현비 강씨는 태조 이성계의 첩이었지만 본처 한씨가 일찍 죽으면서 조선 왕조의 첫번째 정비가 됐다. 1400년 이방원이 조선의 세번째 왕위(태종)에 올랐다. 그러나 그 과정은 골육상쟁으로 얼룩졌다. 방원은 현비강씨의 두 아들인 방석과 방번을 모두 죽인 뒤 보위에 올랐다. 이른바 1차 왕자의 난이다. 태종의 등극은 강씨의 고향에도 영향을 미쳐 곡산도호부는 '곡산군'으로 격하됐다. 곡산 출신으로 또 다른 유명 인물로는 연사종(延嗣宗·1360∼1434)이 있다. 그는 위화도 회군 때 이성계와 행동을 함께 했다. 2차 왕자의 난 때는 방원의 편에 가담해 방간을 제압하는데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 그 결과,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됐다. 현재 연사종은 곡산연씨의 실질적인 시조로 추앙받고 있다. 그는 세종대에 사은사로 명나라에 갔다오면서 의서(醫書)와 약재를 가져오기도
현재 청주 운천동 신라사적비는 도유형문화재 제 134호로 지정돼 있다. 오랫동안 빨래판 용도 등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마멸이 심한 편이다. 그럼에도 이 비에서는 '元泰'라는 사람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사학자들은 "신라 귀족의 한 명으로 삼국사기에 나오는 '金元泰'라는 인물이 원천동 신라사적비의 '元泰'임이 분명하다"고 말하고 있다. 당시 귀족들은 태반이 '경주김씨'였기 때문에 성 표기가 종종 생략됐다. 김원태는 성덕왕의 전비(前妃)인 성정왕후(成貞王后)의 아버지로, 진골의 성분을 지녔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성정왕후는 716년(성덕왕 15)에 출궁(出宮)을 당하게 된다. 이 대목을 학자들은 귀족간에 분쟁이 일어났고, 그 결과 김원태 일족이 패배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원태를 703년(성덕왕 2) 7월에서 705년 1월까지 중시(中侍·오늘날 국무총리)를 지냈던 원문(元文)과 같은 인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원문은 704년에 죽었으므로 성정왕후의 출궁 이유에 대한 설명이 잘 맞지 않는다. 이런 '원태'가 청주 운천동 신라사적비에 등장해 있는 것은 커다란 의미가 된다. 삼국통일을 완성한 신라는 685년(신문왕 5) 우리고장 청주에 서
음성 황새가 밀렵꾼 총에 희생된 것은 지난 1971년 4월이었다. 그 이전까지 음성 생극에 황새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를 특종 보도한 신문은 동아일보였다. '六·二五이후 자취를 감추었던 황새가 다시 충북 음성군에서 서식하고 있음이 본사 천연기념물실태조사반에 의해 확인되었다.'- 당시 동아일보 특종은 한 독자의 제보가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동아일보는 이 부분을 '이번 황새의 번식을 확인하게 된 것은 독자 윤용진 씨가 본보에 연재해 온 천연기념물 보호캠페인 기사를 읽고 자기의 고향에 황새가 있다고 본보에 알려와 본사 천연기념물 생태조사반이 두차례에 걸친 답사 끝에 황새를 촬영하는데 성공한 것이다'라고 썼다. 계속해서 동아일보는 '우리나라에 황새 번식지로는 충북 진천군 이월면과 음성 대소면이 천연기념물 황새번식지로 지정되었으나 이미 六·二五 이후 자취를 감추었고 다만 이곳 생극·금왕 일대에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라고 기술했다. 몇년후 한 언론인은 황새 특종기사를 소재로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 특종 순간의 희열이 잘 표현돼 있다. '학계의 도움의 받아 그것이 (천염기념물) 199호임을 확인하고 촬영에 성공해서 사진특종을 보도한 것이 P
황새의 본래말은 '한새'로 이때의 '한'은 '크다'는 뜻을 지닌다. 그렇다면 황새는 '큰 새'라는 뜻이 된다. 황소할 때의 '황'도 본래는 '한'으로, '큰 소'라는 의미다. 황새는 우리나리에서는 비교적 흔한 새였다. 때문에 그림이나 자수의 주요 소재가 됐다. 소나무 위에 앉아 있는 황새는 '송단(松檀) 황새' 또는 '관학(관은 觀의 見대신 鳥)'이라고 불렀다. 옛문헌에도 황새는 비교적 자주 등장한다. 고려 문호로 일컬어지는 이규보는 '사평강(沙平江) 가에서 우연히 읊다'라는 시에서 황새를 주요 소재로 삼았다. '돛 내린 강어귀에 오래도록 머뭇거리면서/ 맑은 물결 굽어보며 말없이 수염만 만진다 / 언덕에 우거진 풀 겨우 황새 숨을 만하고 / 갯가에 오는 밀물 오리를 마중하는 듯…'- 참고로 '東國은 '고려', '李相'은 '이씨 성을 가진 재상' 즉 이규보 자기 자신을 일컫는다. 세종실록에 큰 새와 뱀에 얽힌 얘기가 쓰여 있다. 이때의 큰 새는 역시 황새를 의미한다. '북방 야인 지방에 사람 천만 명을 잡아먹은 뱀이 있는데, 사람의 피가 뱀의 창자 속에서 단단히 엉키어 돌이 됩니다. '관(황새 지칭) '이라고 부르는 큰 새가 있어서, 그 뱀을 잡아먹고 그 돌을
상소(上疎)는 대략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이나 말을 말한다. 조선시대 상소로는 최만리의 한글반대가 가장 유명하다. 갑자년에 있었선 상소라고 해서 이른바 '갑자상소'라고 한다. 전회에 우리고장 괴산 인물 전유형을 설명한 바 있다. 그도 괴산 초야에 묻혀 있으면서 임금께 상소를 한 것이 계기가 돼 중앙 정계에 진출했다. 그는 용기와 배포를 겸한 인물이었다. 그는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조헌의 휘하로 들어가 우리고장 전투에 참여했다. 그리고 그 이듬해 왜군 방어를 위한 책략 10여조를 선조 임금에게 상소했다. '괴산 유생(儒生) 전유형(全有亨)이 군국(軍國) 어왜(禦倭)에 대한 일 10여 조항의 방략을 상소하니, 상은 이를 깊이 받아들이고서 정원에 전교하였다. "이 상소를 보건대 학식이 해박하고 병기(兵機)까지 통달하여 근래의 다른 상소에 비할 바가 아니니 어찌 초야의 기사(奇士)가 아니겠는가'"- 실록에 상소 10여조의 내용이 자세히 실려있지 않은 것이 다소 아쉽다. 그러나 전란 중의 선조는 이 상소 내용이 마음에 들었는지 "우리 나라 사람들은 말만을 잘한 경우가 대부분 많다. 그러나 이곳으로 불러다가 일을 맡겨 보고 그의 말을 들어 재주를 시
전라남도 영암군에 위치한 월출산(809m). 조선시대 지리학자이자 풍수가인 이중환은 '택지리'에서 월출산을 '화승조천(火乘朝天)'의 지세라 일컬었다. '아침 하늘에 불꽃처럼 기를 내뿜는 기상'이란 뜻이다. 그만큼 월출산은 기(氣)가 세기로 유명한 곳이다.45명의 충북일보 48차 클린마운틴 아카데미 탐방단은 지난 28일 신록의 기를 찾아 나섰다. 2012년도 테마인 '전국 명품 걷기길 순례'에 따라 코스는 '월출산 기찬묏길'로 정했다. "어머! 저기 좀 봐." 4시간의 힘든 여정에 지쳐갈 때쯤 영암의 명물, 유채꽃 밭이 화려한 자태를 드러낸다. 파란 하늘과 노란 땅, 자연이 그려낸 한 폭의 수채화를 추억 속에 담는다.낮 12시 기찬묏길 2구간 중간지점인 군서 월암마을에서 몸을 푼 탐방단은 클린마운틴 쓰레기봉투를 하나씩 챙겨들고 힘찬 발걸음을 내딛었다.한창 농번기에 접어든 농로를 따라 콧노래를 부른다. 윤석준 숲해설가가 중간 중간 야생화에 대해 설명한다. 오랑캐가 쳐들어오는 춘궁기 때 핀다고 해 '오랑캐꽃'으로도 불리는 제비꽃, '개부랄꽃'이라는 이름이 저속(?)하다 해 새로운 꽃말을 얻은 '베로니카'. 이름도, 모양도 제각각인 야생화들이 꽃머리를 살랑살랑 흔들
서양의학은 해부학에서 출발했다. 서양의학의 원조로 불리는 히포크라테스는 뼈, 근육, 힘줄의 구조와 기능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에비해 동양의학은 기(氣)를 중시하다 보니 해부학에 별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기껏해야 살을 간단히 째는 종기 치료가 고작이었다. 그러나 조선후기 들어서면 흐름은 달라진다. 실학을 중심으로 '우리 몸속은 어떻게 생겼을까'라는 해부학적인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다. 이를 대표하는 사람이 '성호사설'로 유명한 이익(李瀷·1681∼1763)이다. 그는 성호사설 제 15권의 인사문(人事門)에서 '오장도'(五臟圖)라는 글을 남겼다. 오장도는 인간의 몸에 들어 있는 5개의 장기(臟器)인 간장(肝腸), 심장(心腸), 비장(脾臟), 폐(肺), 신장(腎臟)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그 남자가 생각하기를, "누이동생 하나를 죽여서 천만 명의 목숨을 살림이 옳겠다." 하고 드디어 배를 가르니 간(肝)과 격막(膈膜)이 모두 썩었는데, 앵도 씨가 엉켜 살이 돋아났다. 이에 간을 보호하는 처방은 얻었으나, 그 천만 인을 살린다는 공덕이 한 누이동생을 죽인 죄악을 속(贖)하지는 못할 것이다.'- 해부학적인 일, 즉 '사람의 배를 갈라 천만인의 목숨을 얻으면 얼마
전회에 조선이 명나라측의 잘못된 이성계 족보를 고치는데 무려 2백년 가까이 걸렸다고 밝힌 바 있다. 조선 조정은 그만큼 속이 까맣게 타들어갔다. 조선 중기의 중종 임금도 곧 남곤·이자 등을 명나라에 파견, "태조(이성계 지칭)의 세계(世系)가 이인임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밝히고 그 개정을 요구했다. 그에 앞서 중종은 대신들과 명나라에게 줄 선물을 직접 논의했다. 창업주(이성계) 족보에 관한 일이기 때문에 선물은 과거와 확연히 달랐다. 그 양이 푸짐하고 다양했다. '은보 등이 서계(書啓)하였는데, 공 사신에게는 큰 벼루 3면(面), 백세면포(白細綿布) 10필, 흰 세모시(白細苧布) 8필, 여섯 폭 유석(油席) 3장, 견면지(繭綿紙) 1백 장을, 화 사신과 설 사신에게는 큰 벼루 3면, 백세면포 5필, 흰 세모시 5필, 여섯 폭 유석 3장, 견면지 60장이었다.'- 그러나 명나라의 무종(武宗)은 선물을 잔뜩 받았으면서도 족보 오류는 바로 잡지 않았다. 그러자 안달이 난 조선 조정은 유보, 권벌, 조사수, 김주, 이후백·윤근수, 홍성민 등 사신을 릴레이 식으로 보내 오류 수정을 거듭 요구했다. 그러나 명나라는 그때마다 "고치겠다"는 언약만 할 뿐 계속 뜸을 들
명나라는 조선건국 초기부터 무려 선조 임금대까지 정확하지 않은 이성계의 족보를 기록했다. 당연히 조선은 여러 차례 사신을 보내 이의 수정을 요구했다. 양국을 오랫동안 불편하게 했던 종계변무(宗系辨誣) 사건이다. 사건의 발단은 고려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1390년(공양왕 2) 이성계의 정적이던 윤이(尹彛)·이초(李初)가 명나라로 도망쳤다. 이때 둘은 이성계가 고려의 권신 이인임(李仁任)의 후손이라고 고해받쳤다. 그 뒤 명나라는 이들의 말을 믿고, 자국의 태조실록과 대명회전(大明會典)에 그대로 기록했다. 조선 조정이 이성계의 족보가 명나라 사료에 잘못 기록돼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1394년(태조 3) 4월이었다. 당시 조선과 명나라 사이에, 지금 식으로 표현하면 어업권 분쟁이 있었다. 이때 명나라가 항의한 문서에 '高麗陪臣李仁任之嗣成桂今名旦者云云'(고려배신 이인임지사성계 금명단자운운)라는 내용이 서술돼 있었다. 풀이하면 '고려의 신하 이인임의 후손인 성계의 지금의 이름을 단이라 하는 등' 정도가 된다. 명나라에 있어 이성계 족보는 관심 사항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건국 직후의 조선으로서는 왕통의 합법성이나 왕권 확립에 이는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더구나
직지(직지심체요절)는 고려우왕 때인 1377년 청주목 교외 흥덕사라는 사찰에서 금속활자로 인쇄된 불서를 말한다. 그러나 1377년이면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1443년과 60여년 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이는 이 시기들어 지식보급에 대한 필요성이 대중적으로 싹트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고려 금속활자는 뜻글자인 한자를 매개로 했기 때문에 더이상 발전하지 못했다. 반면 훈민정음은 소리글자를 매개로 했기 때문에 IT 최강국 한국의 밑걸음이 됐다. 청주 흥덕사라는 사찰에서 직지를 간행했다는 점은 한번쯤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왜 다른 곳도 아닌 사찰에서 금속활자로 책을 찍었을까. '불경은 사찰에서 필요한 것이니까'라고 답을 하면 틀린 것은 아니지만 만점은 아니다. 고려 전기에는 관청수공업이 발달했다. 반면 후기에는 사원(절) 수공업이 성했다. 이와 관련해 고려 후기가 되면 사찰이 전국토의 17%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사원경제가 급팽창한다. 고려 사찰은 토지를 대규모로 소유했을 뿐만 아니라 각종 면세 혜택을 받았다. 여기에 왕실과 귀족들이 앞다퉈 토지 기탁을 하면서 고려의 사원경제는 날로 비대해졌다. 고려 사찰은 이같은 시대흐름 하에서 장인들을 대거 고용, 국가
조선시대 벼슬 중에 '사또'(혹은 원님)라는 것이 있다. 그러나 사또는 정식 벼슬이름이 아닌 '수령'(守令)을 달리 불렀던 표현이다. 수령은 군수(郡守)와 현령(縣令)을 준말이다. 이중 군수가 다소 높아 종4품, 현령은 종6품의 품관을 갖는 것이 보통이었다. 고을 원님 중 가장 낮은 품계는 현감으로, 보통 종6품의 벼슬을 지녔다. 조선시대 원님은 지금의 시장, 군수와 비슷한 점이 있다. 다만 수령은 왕이 임명하고, 사법·군사·행정권을 행사했다. 이에 비해 지금의 시장과 군수는 국민들의 선거에 의해 선출되고 행정권만 행사하는 점이 다르다. 고을 원님들의 임기는 보통 2년으로, 관찰사 1년보다는 다소 길었다. 이때 고을 원님 가족이나 부인과 함께 하는 것이 아닌, 혼자서 임지에 부임했다. 따라서 조선시대 원님 이야기가 나오면 열에 아홉은 기생 이야기가 뒤따른다. 우리가 춘향전에서 읽었듯이 남원 사또 변학도가 부임하자마자 가장 먼저 한 일이 이른바 기생 점고였다. '점고'(點考)는 명부에다 일일히 점을 찍어가면서 사람의 수효를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조선시대 관기는 관에 속한 관물(官物)로 여겨졌다. 춘향전으로 널리 알려진 '열녀춘향수절가'는 점고 끝에 수
조선시대 세 손가락 안에 꼽히는 애주가로 단연 송강 정철(鄭澈·1536∼1593)이 있다. 그의 애주가적인 진면목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설시조로 일컬어지는 '장진주사'(將進酒辭)에서 잘 드러난다. '한 잔(盞) 먹세그려 또 한잔 먹새그려 / 꽃꺽어 산(算)놓고 무진무진(無盡無盡) 먹세그려 / 이 몸 죽은 후면 지게 위에 거적덮어 줄이어 매여가나 / 유소보장(流蘇寶帳)의 만인(萬人)이 울며 예나 / 억새풀 속새풀 떡갈나무 버드나무 우거진 숲에 가기 곧 가면 / 누런 해, 흰 달, 굵은 눈, 소소리 바람 불 제 뉘 한잔 먹자할꼬 / 하물며 무덤 위에 잔나비 휘파람 불 때 뉘우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편의상 고한글체를 현대문으로 고쳐 실었다. 인용문중 '산(算)놓고'는 술잔을 하나하나 세어가며, '유소보장(流蘇寶帳)'는 화려한 상여를 일컫고 있다. 애주가 정철의 진면목은 유물로도 어느정도 입증되고 있다. 선조 임금은 정철이 술을 너무 좋아하자 '하루 석잔만 마시라'는 권고의 의미로 은배(銀盃)를 하사했다. 그 은배가 지금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의 송강정사에 전시돼 있다. 손잡이가 달린 이 은배는 복숭아 모양으로 잔받침도 갖추고 있다. 선조 때는 사림이 동인과
조선시대 국청(鞠廳)은 모반, 대역죄 등 국가 중죄인을 심문·재판하기 위해 왕명에 의해 임시로 설치되는 특별 재판정을 말한다. 이 국청은 죄질에 따라 친국(親鞫)·정국(庭鞫)·추국(推鞫)·삼성추국(三省推鞫)으로 다시 세분됐다. 친국은 국왕이 참석해 친히 심문하는 것으로 위험에 대비해 왕궁을 호위하고 진행했다. 설치 장소는 경희궁, 창덕궁, 금위영이었다. 정국은 친국과 대체로 같으나 왕명에 의해 13~ 23인의 국문관이 동석했다. 설치 장소는 보통 병조나 의금부였다. 추국은 국문관이 10인 내외로 다소 적은 편이다. 필요에 따라 친국 또는 정국을 추국으로 바꾸어 계속하였다. 삼성추국은 모반보다는 강상(윤리죄) 죄인을 심문하는 경우로 의정부·사헌부·사간원의 관원 중에서 왕명으로 지명된 8인의 국문관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경우 죄인은 형조에서 이미 심문을 마쳤기 때문에 삼성추국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내용만 조사받았다. 전회에 우리고장 인물인 권섭이 송시열의 사사 등 정치환경의 급변으로 인해 우리고장 제천의 청풍으로 낙향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아들 권진성을 정치적 사건으로 잃은 슬픔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경종실록에 관련 내용이 등장한다. 경종은 소론의 세를
조선시대 선비들은 정주개념 외에 별장문화 의식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석간수 흐르는 계곡에 아홉구비를 뜻하는 구곡(九曲)을 설정하고 각 구비마다 시를 지었다. 주자가 설정한 중국 복건성 무이산의 무이구곡(武夷九曲)이 그 기원으로, 이 영향을 받아 퇴계 이황은 도산십이곡, 율곡 이이는 고산구곡가를 지었다. 구곡시는 우리고장 괴산에 유난히 많이 남아 있다. 이런 구곡은 좁은 수계가 아닌, 넓은 곳에 설정되기도 한다. 제천~청풍 일대에도 구곡시가 존재하고 있다. 저자는 조선 영조 때 제천 인물인 권섭(權燮·1671∼1759)은 황강구곡가(黃江九曲歌)를 지었다. 그는 1곡부터 9곡까지 지역 순에 따라 각각 한 곡마다 시조 1수씩을 지었다. 각 곡명은 1곡 대암(對岩), 2곡 화암(花岩), 3곡 황강, 4곡 황공탄(皇恐灘), 5곡 권호(權湖), 6곡 금병(錦屛), 7곡 부용벽, 8곡 능강(綾江), 9곡 구담 등이다. 이중 황공탄은 전회에 소개한 바 있다. 지면상 제 8곡가인 능강만을 소개하면 '八曲이 어드메오 綾江洞이 맑고 깊어 / 琴書 사십년의 네어인 손이러니 / 아마도 一室雙亭의 못내들겨 하노라'라고 썼다. 혹자는 8곡에 대해 시각과 청각의 회상적 결합에 있다.…
여울은 하천 바닥이 경사를 이뤄 물흐름이 빠른 부분을 말한다. 백과사전은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는 굵은 조약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이 소리내어 흐른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 '여울이 형성되는 하천은 지형의 발달과정에서 볼 때 유년기(幼年期)에 속하며, 대륙의 구조평야를 흐르는 하천에서는 일반적으로 보기 드물다'라고 쓰고 있다. 조선말기 인물로 이유윤( 李裕元·1814~1888)이 있다. 그는 흥선대원군 이하응과 사사건건 대립했던 인물로, 대원군의 등장과 퇴진에 따라 좌천과 복권을 반복했다. 그는 고종초에 좌의정까지 올랐으나 흥선대원군과 반목하여 수원유수로 좌천됐다. 그러나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자 영의정으로 승진했다. 그는 총재관 자격으로 조선의 마지막 법전인 대전회통 편찬을 주도했고, 대한제국기 전인 1882년 전권대신으로서 일본변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와 제물포조약에 조인하기도 했다. 그는 다재다능해 조선의 역사, 지리, 시문, 제도 등을 다룬 '임하필기'(林下筆記)를 쓰기도 했다. 이 문집은 같은 시기 백과사전류인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와 종종 비교된다. 그는 이 문집에서 '호서(湖西)의 네 고을'이라는 소제목으로
충남 서산시 운산면에 수덕사(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의 말사인 개심사(開心寺)라는 고찰이 있다. 사적기에 의하면 651년(의자왕 11) 혜감국사가 창건하여 개원사라 하던 것을 1350년 개심사로 고쳤다. 그 후 1475년(조선 성종 6) 중창했고 1955년 전면 보수하였다. 보물 제143호로 지정된 대웅전과 충남문화재자료인 명부전과 심검당 등이 있다. 그러나 성종 때의 중창은 노후화가 아닌 화재에 의한 것이었다. 실화범은 다름아닌 당시 충청도 절도사였던 김서형(金瑞衡·?-?)이다. 실록에는 그와 사냥에 얽힌 이야기가 이례적으로 자주 등장한다. 무신 출신이었던 그는 사냥을 매우 좋아했다. 문제는 그 과정에서 민폐를 자주 일으켰다. '사헌부에서 행대 감찰 정찬의 계본(啓本)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충청도절도사 김서형(金瑞衡)이 습진(習陣)을 한 뒤에 인마(人馬)를 많이 거느리고 사냥을 행하여 홍주진(洪州鎭)에 속한 여러 고을로 하여금 날마다 지공(支供)하게 하여 폐단을 일으키고…'- 당시 조선 전기의 충청병영은 해미에 있었다. 그러나 그는 해미 주변의 서해안 일대를 벗어나 우리고장 청주까지 진출, 이른바 '원정 사냥'도 했다. 이날은 청주목과 청안현 일대를
호패(號牌)는 조선시대 16세 이상 남성이면 누구나 차고 다녀야 할 물건이었다. 이 호패제도는 호구(戶口) 파악, 유민(流民) 방지, 각종 국역(國役)의 안정적인 조달 등을 위해 도입됐다. 호패에는 착용자의 신분, 지위, 거주지 등 기본적인 인적 사항을 명문으로 새겼다. 따라서 오늘날로 치면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주민등록증과 비슷한 일면을 지녔다. 호패는 2품 이상과 삼사(三司)의 관원인 경우에만 관청에서 제작한 것을 지급받았다. 나머지 대부분의 경우는 백성 각자가 성명, 출생신분, 직역, 거주지 등을 패에 새긴 후 관청에 제출하면 관청이 이의 사실 여부를 확인한 후 낙인을 찍어 발급하는 형식을 취했다. 현재 문신 김희(金憙, 1729∼1800)의 호패가 중앙박물관에 전시돼 있다. 그의 호패 앞면에는 '김희(金憙) 기유생(己酉生) 계사문과(癸巳文科)'라고, 뒷면에 '갑진(甲辰)'이라고 새겨져 있다. 이를 통해 김희라는 인물은 기유년(영조 5, 1729)에 태어나 계사년(영조 49, 1773, 당년 45세)에 문과에 급제했으며, 갑진년(甲辰年, 정조 8, 1784)에 이 호패를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호패법은 조선 전기인 태종 때 처음 도입됐다. 이의…
우리나라 최초의 의서는 1236년(고려 고종 23)에 간행된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이다. 당시 고려 조정은 약재의 자급자족을 위하여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향약구급방을 간행했다. 그러나 초간본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향약구급방은 이후 1417년 7월 의흥현(義興縣)에서 현감 최자하(崔自河)에 의하여 중간(重刊)됐으나 이 역시 국내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다만 어찌된 이유인지 일본 궁내청서릉부(宮內廳書陵部)가 소장하고 있다. 향약구급방은 고려 중기의 의약적 지식을 고찰하는 자료가 될 뿐 아니라 본초학, 약용식물, 고려어(高麗語), 이두(吏讀) 표기법 연구 등에 있어서도 귀중한 문헌이 되고 있다. 향약구급방이 또 한번 중간된 적이 있었다. 바로 조선 태종 때 인물인 황자후(黃子厚·1363~1440)에 의해서 였다. 의학에 대해서도 전문가적 지식을 갖고 있었던 황자후는 나주목사로 있으면서 향약구급방을 증간했다. 그런데 이를 인쇄한 곳이 우리고장 충청도였다. 이때는 충청감영은 충주나 청주목에 위치하고 있던 때였다. '전 판나주목사 황자후(黃子厚)가 계하기를, "향약구급방을 인쇄하여 외방(外方)에 나누어서 생명을 구제하는 길을 넓히게 하소서"하니, 드디어 충청도로 보
넘실거리는 파도, 남쪽에서 불어오는 봄바람. 짠 내를 가득 머금은 바다 바람이 이리도 상쾌한지 몰랐다. 육지에 있을 땐 봄이 이토록 가까이 왔는지 몰랐다.'충북일보 47차 클린마운틴 아카데미'가 부산 앞바다에서 봄을 담아 왔다. 장거리 여정이지만, 인기는 최고였다. 부산 갈맷길(가덕도 둘레길) 접수 30분 만에 버스 한 대 분량이 꽉 찼다. 나날이 인지도를 높이는 클린마운틴이다.31일 오전 8시 청주체육관 앞을 출발한 버스는 3시간을 넘게 달려 부산 가덕도에 도착했다. '산이 바다에 침몰했다가 다시 솟았다'는 전설을 간직한 가덕도는 부산에서 가장 큰 섬이다. 거가대교 해저터널 입구도 보인다.가덕도 둘레길을 모두 걸으면 8시간이 걸린다. 일행은 천성~선창 구간 11㎞만 돌기로 했다. 천성 선착장에서 대항까지는 비교적 완만했다. 나무 사이로 내려다보이는 바다 경치는 절로 감탄사를 나오게 했다.대항 선착장 해변에서 각자 준비해온 점심을 먹은 뒤 대항새바지길을 걸었다. 대항새바지에서 동선새바지로 연결되는 코스는 다소 힘들었다. 둘레길이라기 보단 등산로에 가까웠다.조금씩 지쳐갈 때 쯤 계곡 하나가 눈앞에 펼쳐졌다. '어음포'. 물고기 소리가 많이 나는 포구란 뜻이다.
춘향전 진양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술상 차려 향단 들려 앞세우고 오리정 농림숲을 울며 불며 나가는디, 치마자락 끌어다 눈물 흔적을 씻치면서 농림숲을 당도허여…' 그 뒤에는 "이팔청춘 젊은 년이 서방 이별이 웬일이며, 독수공방 어이 살꼬. 내가 이리 사지를 말고 도련님 말굽이에 목을 매여서 죽고지거"라는 내용이 이어진다. 인용문 중에 '오리정'이라는 표현이 보인다. 언뜻보면 어떤 정자의 이름인 듯 하나 그렇지는 않다. 이때의 오리정은 과거 각 지방 고을이 빈객을 영송하기 위하여 군아(郡衙)에서 5리(里) 정도의 거리에 세운 임시 건물을 일컫고 있다. 조선시대 관찰사가 처음 부임해오면, 고을 수령이 관복(官服)을 입고, 오리정에 나가 땅에 엎드려 영접했다. 충청도관찰사가 쓴 순력 일기는 전회에 소개한 '충청감영일기' 외에 '금영일기'(錦營日記)라는 것이 또 하나 전해지고 있다. 표제에 보이는 '금영'은 충청도감영의 별칭으로, 공주목에 있던 영문(營門)을 의미한다. 이 일기의 저자는 영조-순조 연간에 관직생활을 한 심이지(沈臣+頁之)라는 인물이다. 그는 정조 때인 1780년 충청도관찰사에 부임했다. 그가 쓴 금영일기에 '오리정'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백제는 크게 3시기로 나뉜다. B.C 18년에서 서기 475년까지 지금의 서울인 한성에 수도를 정하고 나라를 건국하여 융성한 성장기를 거쳤던 한성백제시기. 이 시기는 B.C 18년에서 서기 475년 문주왕까지 500여 년에 이른다. 문주왕은 즉위 첫해 웅진(지금의 공주)으로 수도를 옮긴다. 바로 이어 웅진백제시대가 열리며 이 시기는 475년 문주왕에서 539년 성왕까지 계속된다. 마지막으로 성왕 16년(538) 지금의 부여인 사비로 천도하는 사비백제시대가 열린다. 이 시기는 의자왕이 나당연합군에 나라를 빼앗긴 660년까지 이어진다. 실제로 백제가 500여 년간 한성에 수도를 두었건만 정작 사람들은 백제하면 부여와 공주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아마 오늘날 공주와 부여에 많은 백제 유적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공주에는 무령왕릉과 공산성으로 대표되는 유적과 유물이 여기저기 남아있고, 부여에는 부소산성과 낙화암, 정림사지오층석탑, 그리고 능산리고분군에서 출토된 수많은 유물들이 찬란했던 백제의 문화유산을 보여주고 있다. 부여백제시대 즉 538년에서 660년까지 120여 년간 이어진 사비백제시대의 유적과 유물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길이 생겼다. 부여군에서…
순력(巡歷)은 조선시대 관찰사가 도내의 각 고을을 순찰하던 제도를 말한다. 달리 순행이라고도 불렀다. 관찰사의 순력은 왕명을 대신 실행하는 것과 고을의 풍속과 민생을 살피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물론 수령이 행정을 잘 펼치는가 여부를 살피는 것도 주요 임무의 하나였다. 관찰사의 순력 행차는 위용이 대단했다. 행차는 장교·군관·나장·도사·찰방·심약·검률·반당·노자(奴子) 등 많게는 수백인이 수행했다. 다소 어려운 단어들이 많이 등장했다. 나장은 죄인을 다루는 하급직, 심약은 약재 검수관, 율령직, 반당은 호위병 등을 일컫고 있다. 이쯤되면 지금으로 치면 도청직원 전체가 움직이는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다. 따라서 관찰사 행차가 있을 경우 각 고을 연도에는 구경꾼들로 북적였다. 관찰사는 감사마교(監司馬轎)라고 불리는 말수레를 타고 움직였고, 위엄을 나타내기 위해 둑(纛·대형기의 일종), 취라치(吹螺赤)·나팔·대평소 부대를 앞세웠다. 이밖에 사모갑(紗帽匣)·인장, 유서(諭書)·절월(節鉞) 등을 휴대하고 떠났다. 사모갑은 모자, 유서는 임금이 내린 명령서, 절월은 말 그대로 절(節)과 월(鉞)을 일컫는다. '절'은 손에 드는 작은 수기(手旗) 모양으로 관찰사 권위를
조선 왕조는 대략 5백년간 존속됐다. 이 기간 동안 몇 명의 충청도관찰사가 파견됐을까. 금영공안, 공주감영읍지, 공산지, 충청도선생안 등의 사료에 관찰사 명단이 존재한다. 현재 금영공안과 공주감영읍지는 장서각, 충청도 선생안은 공주향교에 보관돼 있다. 충주감영 시절의 사료는 거의 존재하지 않고 있으나 이는 조선왕조실록 등을 통해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살펴본 결과, 조선시대에는 정확히 582명이 충청도관찰사로 부임했다. 성씨와 본관별로 구분하면 전주이씨 30명, 파평윤씨 24명, 암동김씨 19명, 안동권씨 18명, 한산이씨 15명 등의 순으로 많았다. 이중 유명 인물로는 조선 전기의 경우 하륜, 정인지, 맹사성, 남지, 박팽년, 이세좌, 채수, 반석평, 노수신 등이 있다. 조선후기 인물로는 유근, 이안눌, 유백증, 김육, 박세당, 박중양이 등이 있다.충청도관찰사는 재직 기간중 나름의 공과를 남겼다. 재해기간 중 충청도관찰사에 임명된 안숭효(安崇孝··-1460)는 진휼사업과 함께 탐관오리를 숙청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그러나 그는 이듬해 과로로 순직했다. 그러자 세조가 이례적으로 부의를 했다.'졸(卒)한 충청도관찰사 안숭효에게 쌀·콩 아울러…
산악인 김웅식씨를 중심으로 구성된 청주 산악회 모임 레저토피아가 탐사단을 조직해 나를 찾아서 떠나는 여행 시리즈 네 번째 '맑은고을 청주둘레길'이라는 안내서를 펴냈다.지난해 12월 나를 찾아서 떠나는 여행 시리즈3 '대청호 둘레길'을 발간한 지 3개월 만이다.이 책에는 '청주둘레길'을 통해 우리고장의 자연의 흔적과 청주를 재발견할 수 있는 7개의 코스가 수록돼 있다. 책장을 넘겨보면 산성마을 상당집에서 출발해 백화산, 수름재, 정북토성을 거쳐 문암생태공원에 이르는 둘레길 1코스가 수록됐다. 4시간12분 코스로 청주시가지의 화려함을 한눈에 볼 수 있다.이어 2코스는 문암생태공원에서 출발해 남촌, 신성교, 부모산을 거쳐 푸르미환경공원에 이르는 3시간6분 코스로 청주의 자랑인 강서 가로수길 등 둘레길을 걸으며 도심 속 쉼터를 찾아보는 재미가 있다.3코스는 푸르미환경공원에서 출발해 팔봉산, 망월산, 미평동갈림길, 장평교에 이르는 7시간31분 코스로 청주둘레길 코스 중 가장 길다. 드넓은 평야지대가 펼쳐지는 용평들과 오르내리는 즐거움이 있는 팔봉산, 두꺼비 생태공원이 있는 구룡산 등을 걸으며 산책과 체험학습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4코스는 사라져 버린 옛길을 찾아 떠
[충북일보] 오는 30일 본보와 충북리더스클럽이 주최하는 '14회 충북경제단체 친선골프대회'가 오전 11시 30분부터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그랜드 컨트리클럽(그랜드 CC)에서 열린다. 대회는 경제인들의 친목 도모와 상호 간의 다양한 정보교류를 통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여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대회는 도내 경제단체 회원과 재경 경제인 등 160여 명이 40개 팀을 이뤄 신페리오 방식으로 치룬다. 라운딩 이후 시상식과 김영환 충북도지사 초청 만찬, 행운권 추첨은 오후 6시 30분부터 진행된다. 시상식은 △메달리스트 △우승(남·여) △준우승(남·여) △니어리스트(남·여) △롱게스트(남·여) 수상자에게 트로피와 부상이 각각 주어진다. 가장 멋지게 옷을 입은 참가자인 △베스트드레스상(남·여) 수상자에게는 부상이 수여된다. / 성지연기자
[충북일보] 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까지 충북 청주시 소재 충북대학교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주관한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렸다. 그러자 지역 곳곳에서 '무슨 일이 있느냐'는 문의전화가 빗발쳤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는 이날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린 배경에 대해 "기존에 국가재정전략회의는 국무총리와 장·차관 등 국무위원 중심으로 열렸다"며 "이번에는 다양한 민간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정책의 현실 적합성을 높이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해도 왜 굳이 충북대에서 이번 회의가 열렸어야 했는지 궁금증은 해소되기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또 하나의 특징은 회의 장소가 충북대라는 점"이라며 "기존에는 주로 세종청사나 서울청사에서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었는데, 충북대를 이번에 택한 이유는 지방 발전, 지역 인재 육성을 포함한 지방시대와 연계해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고자 하는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 또한 대통령의 의지라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일반 시민들의 궁금증을 해소시키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MZ세대인 충북대 학생들과 오찬 간담회를 열어 청년일자리, 지역인재 육성 등의 고민과
[충북일보] 충북 도내 최대 규모의 공연장인 가칭 '충북아트센터' 건립 사업에 본격적인 시동이 걸렸다. 오는 2026년 착공을 목표로 기본계획 수립, 타당성 조사, 중앙투자 심사 등의 절차를 밟게 된다. 26일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 4월부터 충북아트센터 건립을 위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이 진행 중이다. 다음 달 중순 마무리되며 용역을 통해 세운 기본계획에는 공연장 등 규모, 운영 방안, 경제성 검토 등이 담긴다. 도는 이 계획을 타당성 조사에 들어간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제출할 예정이다. 앞서 도는 지난 7월 행정안전부에 타당성 조사를 의뢰했다. 총사업비 500억 원 이상이 투입되는 신규 사업은 의무적으로 타당성 조사를 받아야 한다. 충북아트센터 건립에는 총 2천300억 원이 소요된다. 연구원은 내년 4월까지 경제성과 재무성, 정책적 사업 추진 가능성 등을 분석한다. 도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 같은 해 상반기 행안부에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를 신청할 방침이다. 심사를 무난히 통과하면 충북아트센터 건립을 위한 준비를 마친 뒤 오는 2026년 첫 삽을 뜬다는 계획이다. 오는 2028년 완공을 목표로 잡았다. 도는 이런 절차가 차질 없이
[충북일보] "산업 현장은 치열한 전쟁터라 조용해 보이지만 끊임없이 경쟁력을 개발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이재진(67) ㈜ATS(에이티에스) 대표는 기업의 생존을 위해선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ATS는 국내 자동차 플라스틱부품 업계 1위 기업으로 2004년 설립해 20년간 끊임 없이 달려왔다. 주력 제품은 초정밀 사출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용 클립(Clip)과 패스너(Fastener)등 자동차 플라스틱 부품이다. 이재진 대표는 "클립, 패스너 등 플라스틱 부품과 연료 부품 분야로 두 가지 트랙을 사업 아이템으로 갖고 있다"며 "보통 300가지 정도의 부품이 매월 생산되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에이티에스는 지난 2022년 국내 완성차 업체 2곳이 필요로 하는 부품 점유율의 50%를 넘어섰다. H사의 1대에 사용되는 내장·외장용 클립 100개중 50개 이상은 에이티에스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는 의미다. 이재진 대표는 "신차 개발은 2년을 앞두고 이뤄진다. 올해 기준으로 2026년 모델링이 나오면 그에 필요한 부품을 부품 회사들이 2~3년전부터 개발하기 시작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 차의 디자인 등에 맞춘 개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