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이강일, 온라인플랫폼법 제정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온라인플랫폼 관련 분쟁조정, 피해자구제 접수 건수 크게 늘어

  • 웹출고시간2024.09.11 16:56:41
  • 최종수정2024.09.11 16:56:41
[충북일보] 온라인플랫폼 관련 분쟁이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이강일(청주 상당) 의원이 한국공정거래조정원과 한국소비자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온라인플랫폼 관련 분쟁조정과 피해구제 접수 건수가 크게 늘고 있다.

공정거래분야 분쟁조정 건수는 2020년 976건에서 2023년은 40.6% 늘어난 1천372건이다.

올해는 8월 말 현재 '티메프 사태' 등의 이유로 이미 1천331건에 이르고 있다.

접수건수 상위 10개 기업의 공정거래분야 분쟁조정 처리현황을 보면 상위 10개 기업 중 온라인플랫폼 기업의 수가 2020년 3개, 2021년 5개, 2022년 4개, 2023년 3개, 2024년 8개로 늘었다.

특히 올해 들어 티몬, 쿠팡, 위메프, 네이버, 인터파크커머스, 우아한형제들, 쿠팡이츠서비스, 지마켓 등 11개 기업 중 8개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쿠팡이 매년 접수 건수가 가장 많았으나, 올해 8월말 현재 티몬, 위메프, 인터파크커머스 등 큐텐 계열사들이 180건을 차지했다.

온라인플랫폼 관련 피해구제 접수 건수도 크게 늘고 있다.

2020년 2천934건에서 2023년 3천398건으로 15.8% 늘었고, 올해 8월말 현재 4천358건으로 지난해보다 1천건 가까이 늘었다.

피해구제 접수 건수 역시 올해 8월말 현재 티몬이 1천198건으로 가장 많았고 네이버, 쿠팡 등이 뒤를 이었다.

이 의원은 "디지털 경제 가속화로 공정거래 분야 분쟁조정 사건에서 온라인플랫폼 업체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고 있고, 티메프 사태에서 알 수 있듯이 온라인플랫폼의 특성상 소비자 다수에게 피해가 돌아간다"며 "정부는 자율·사후규제가 아닌 온라인플랫폼법 제정으로 시장지배적 플랫폼 기업에 대한 사전지정과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불공정행위를 규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 최대만기자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김명규 충북도 경제부지사 "고향 발전에 밀알이 되겠다"

[충북일보] "'고향 발전에 밀알이 되겠다'는 초심을 잃지 않고 앞만 보며 열심히 뛰었고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대한민국의 중심 충북'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충북 음성이 고향인 김명규 충북도 경제부지사는 취임 2년을 앞두고 충북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고향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받은 만큼 매일 충북 발전에 대해 고민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부지사는 취임 후 중앙부처와 국회, 기업 등을 발품을 팔아 찾아다니며 거침없는 행보에 나섰다. 오직 지역 발전을 위해 뛴다는 생각으로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 투자유치, 도정 현안 해결, 예산 확보 등에서 충북이 굵직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견인했다. 김 부지사는 대전~세종~청주 광역급행철도(CTX) 청주도심 통과,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조성 추진,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사업 등을 주요 성과로 꼽았다. 지난 2년 가까이를 숨 가쁘게 달려온 김 부지사로부터 그간 소회와 향후 계획 등에 대해 들어봤다. ◇2022년 9월 1일 취임한 후 2년이 다가오는데 소회는. "민선 8기 시작을 함께한 경제부지사라는 직책은 제게 매우 영광스러운 자리이면서도 풀어야 할 어려운 숙제와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