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광부·국토부·환경부에 14개 의제 제출
[충북일보] 청주시 용암동의 행정구역을 대동으로 '승격'시키거나 동을 쪼개는 '분동'을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용암동 일원에 동남지구가 조성돼 이 지역의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행정수요를 감당못한 용암1동, 용암2동 행정복지센터에 과부하가 걸리고 있기 때문이다. 시에 따르면 현재 용암1동과 용암2동 행정복지센터가 담당하고 있는 법정동은 용암동과 용정동, 방서동, 운동동, 월오동, 지북동, 평촌동 등 7곳이다. 이곳의 인구는 지난 3월 기준 11만명(용암1동 5만7천900여명, 용암2동 4만1천300여명)에 달한다. 상당구 전체 인구 19만8천800여명의 절반이 넘는 인구가 용암동 관할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셈이다. 현재 상당구에는 13곳의 행정복지센터가 운영되고 있지만 이중 2곳에 전체 인구 절반 이상이 몰려있는 상황이다. 이 인구의 행정수요를 처리해주는 공무원은 단 50여명에 불과하다. 단순계산으로 공무원 1명당 이 지역 인구 2천명의 시민을 담당하고 있는 꼴이다. 단양군의 전체인구 2만 7천여명의 행정수요를 600여명의 공무원들이 소화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업무 과부하현상은 극명히 드러난다. 용암동 행정구
[충북일보] 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까지 충북 청주시 소재 충북대학교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주관한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렸다. 그러자 지역 곳곳에서 '무슨 일이 있느냐'는 문의전화가 빗발쳤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는 이날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린 배경에 대해 "기존에 국가재정전략회의는 국무총리와 장·차관 등 국무위원 중심으로 열렸다"며 "이번에는 다양한 민간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정책의 현실 적합성을 높이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해도 왜 굳이 충북대에서 이번 회의가 열렸어야 했는지 궁금증은 해소되기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또 하나의 특징은 회의 장소가 충북대라는 점"이라며 "기존에는 주로 세종청사나 서울청사에서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었는데, 충북대를 이번에 택한 이유는 지방 발전, 지역 인재 육성을 포함한 지방시대와 연계해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고자 하는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 또한 대통령의 의지라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일반 시민들의 궁금증을 해소시키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MZ세대인 충북대 학생들과 오찬 간담회를 열어 청년일자리, 지역인재 육성 등의 고민과
[충북일보] 충북도가 경제 성장을 견인할 일반산업단지 5곳을 새로 조성한다. 도에 따르면 산업입지의 개발에 관한 통합 지침에 따라 '2023년 충청북도 산업단지 지정 계획'을 변경 고시했다. 이 계획에는 신규 산단 5곳 조성이 추가됐다. 충주 중원제2일반산단과 음성 중부특장차클러스터·성본제2일반산단·천본일반산단, 청주 남부일반산단이다. 이로써 도가 추진하는 산업단지는 총 22곳이며 전체 면적은 1천780만2천㎡로 늘어났다. 이 중 산업용지는 1천75만7천㎡에 해당한다. 지역별로는 청주시와 음성군 각 6곳, 충주시 5곳, 진천군 2곳, 보은군과 옥천군, 영동군 각 1곳이다. 규모는 청주넥스트폴리스가 188만2천㎡로 가장 크다. 북충주IC산단(169만7천㎡), 음성 삼성테크노밸리(160만2천㎡), 충주 금가산단(157만5천㎡), 오창나노테크산단(150만4천㎡). 진천메가폴리스(139만5천㎡) 등의 순이다. 일반산업단지는 시·도지사가 계획을 수립해 국토교통부 산업입지정책 심의를 거쳐야 한다. 이를 통과하면 지방자치단체가 자체 승인하는 절차로 지정한다. 30만㎡ 미만의 산단은 시장·군수가, 그 이상은 도지사가 할 수 있
[충북일보]100일 전 수사통인 목성수 충주경찰서장이 부임하면서 지역민들의 관심은 높았다. 충주호, 수안보온천, 월악산국립공원 등 천혜의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충주는 외지인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원정범죄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최근엔 첨단미래산업 투자가 이어지면서 치안수요와 범위가 증가하고 있다. 충주 주요 범죄 검거율은 어떤지. "올해 들어 발생한 주요 범죄 검거율을 살펴보면 성폭력 75%, 폭력 74%에 달하며, 특히 절도는 89%의 높은 검거율을 보이고 있다. 살인, 강도, 성폭력, 폭행, 절도 등 5대 범죄의 평균 검거율은 82%로 전년 동기 68.3% 대비 약 13% 증가했다. 최근 우수 검거사례로는 심야시간에 전국 사찰을 돌며 불전함을 파손하고 35회에 걸쳐 약 2천만 원을 절취한 피의자를 검거해 구속한 바 있다. 전국적으로 충주경찰의 수사역량을 보여준 좋은 사례였다." 집중하는 범죄 분야는 무엇인지. "먼저 여성, 아동, 노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학대, 가정폭력, 성범죄 등 각종 범죄 예방, 검거에 집중해 사회적 약자 보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리고 무고한 시민의 생명까지 위협하는 음주운전 단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