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조형적 감명-바다를 사이에 두고 展

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 기획전

  • 웹출고시간2014.10.12 14:55:34
  • 최종수정2014.10.12 14:55:34

조형적 감명 바다를 사이에 두고 전시관

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은 기획전으로 환태평양을 중심으로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태국,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총 8국가의 작가 50명의 작품 50여점을 2014년 10월 27일~10월 30일까지 전시한다. 전시 개막 행사는 10월 17일(금) 오후 4시에 갖는다.

본 전시는 전시 코디네이터 피터 맥워터(Peter MacWhirter)의 캐나다 동부해안의 심해 순항 다큐멘터리 촬영 경험을 전시로 연결했다. 작가는 자연으로 보여 지는 구조물, 지구 위를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형상화했다.

한국작가 15명과 외국작가 35명의 판화작품을 동시에 전시한다. 태국작가 창 팅야는 산이 침식되는 과정을 축소하여 국그릇에 올려놓아 자연이 인간으로 하여금 소화 흡수되는 모습을 표현했다. 또 일본의 테우로 이소미 작가는 생명의 전달자로 꽃, 피, 물의 흐름으로 보여준다. 한국작가 정명국의 작품은 자연의 일부인 인간의 내적 갈등을 흑연이란 소재를 통해 어둡게 표현하는 등 다양한 기법과 소재로 작품을 만들었다.

군 관계자는"이번 전시를 통하여 국내외 작가들의 판화작품 감상을 통하여 판화의 다양성을 경험하고, 판화의 발전된 기법을 탐구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해외작가의 작품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 윤기윤기자 jawoon62@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기업 돋보기 1. 이을성 SSG에너텍 대표

[충북일보] 건물에 발생하는 화재는 곧 인명 피해로 이어진다. 최근 대전 한국타이어 공장의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대량의 타이어가 타며 가연 물질이 나온 것도 화재 진압 어려움의 원인이었지만 공장의 조립식 샌드위치 패널 구조도 한몫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대형 화재 발생 시 피해를 키우는 요인으로 꼽혀 온 가연성 건축자재 사용 제한 건축법 개정안이 지난해 2월 11일 본격 시행됐다. 개정안에 따라 건축물 내·외부의 마감재와 단열재, 복합자재 심재 모두 화재 안전성 확보가 의무화됐다. 강화된 법 개정으로 준불연·불연 건축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충북도내 선도적인 제품 개발로 앞서나가는 기업이 있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에 위치한 ㈜SSG에너텍은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고효율의 건축자재를 개발·제조하는 종합건축자재 전문기업이다. 특히 주력 제품인 'IP패널(Insulation Panel: 동적내진설계용 준불연단열일체형 패널)'은 마감재와 단열재를 일체화한 외단열 마감 패널이다. 이을성(59) SSG에너텍 대표는 "단열·내진·준불연 세 가지 성능을 충족하면서 일체화된 단열·마감재는 SSG에너텍이 유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