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억2천만원 투입,과일이중봉지·은박비닐 등 지원
[충북일보] 새해부터 충북도내 모든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수학여행을 비롯한 수련활동, 현장체험학습 경비가 지원된다. 충북교육청은 학부모 교육비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2023년부터 도내 모든 초·중·고·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 수학여행 등 체험학습에 참여할 경우 해당 학생에게 일정 금액의 현장체험학습비를 지원한다고 26일 밝혔다. 올해까지 저소득층과 면지역 학생, 특수학교 학생에게만 지원하던 예산을 대폭 증액해 현장체험학습 경비지원 대상을 도내 모든 학교 학생으로 확대한 것이다. 충북교육청은 이를 위해 내년도 현장체험학습 경비를 전년도 예산 19억 원보다 274억 원이 증가한 293억 원으로 편성해 충북도의회 승인을 받았다. 이 예산은 도내 초·중·고·특수학교 484곳 16만4천900여 명의 학생들을 위해 사용된다.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현장체험학습비는 수학여행, 수련활동, 현장체험학습 등 체험학습별, 초·중·고등학교급별로 차등 지원된다. 숙박형 수학여행의 경우 학생 1인당 지원되는 경비는 초등학생 15만 원, 중학생 16만 원, 고등학생 35만 원이다. 숙박형 수련활동의 경우는 초등학생 8만 원, 중학생 9만 원, 고등학생 10만 원의
[충북일보] 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까지 충북 청주시 소재 충북대학교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주관한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렸다. 그러자 지역 곳곳에서 '무슨 일이 있느냐'는 문의전화가 빗발쳤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는 이날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린 배경에 대해 "기존에 국가재정전략회의는 국무총리와 장·차관 등 국무위원 중심으로 열렸다"며 "이번에는 다양한 민간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정책의 현실 적합성을 높이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해도 왜 굳이 충북대에서 이번 회의가 열렸어야 했는지 궁금증은 해소되기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또 하나의 특징은 회의 장소가 충북대라는 점"이라며 "기존에는 주로 세종청사나 서울청사에서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었는데, 충북대를 이번에 택한 이유는 지방 발전, 지역 인재 육성을 포함한 지방시대와 연계해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고자 하는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 또한 대통령의 의지라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일반 시민들의 궁금증을 해소시키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MZ세대인 충북대 학생들과 오찬 간담회를 열어 청년일자리, 지역인재 육성 등의 고민과
[충북일보] 충북도민의 나눔 지표인 '사랑의 온도탑'의 나눔 온도가 좀처럼 오르지 않고 있다. '사랑의 온도탑'은 지난 1일 모금 캠페인을 시작으로 20여 일이 지났지만 지난 26일 기준 나눔 온도는 목표치의 절반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길어지는 코로나19, 경기침체와 물가 급등으로 인해 기부 심리가 꽁꽁 얼어붙고 있어서다. 충북도민들의 이웃을 위한 따뜻한 손길이 절실한 상황이다. 올해 2023 나눔 캠페인 사랑의 온도탑의 모금 목표액은 81억3천만 원이다. 충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따르면 26일 기준 충북 사랑의 온도탑 모금액은 26억2천516만 원이다. 목표액의 32.3% 수준에 머물러있다. 모금 현황은 현금 21억7천55만 원(83%)·현물 4억5천461만 원(17%)으로, 현금이 현물보다 많이 모금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사랑의 온도탑 모금액은 44억6천700만 원으로 목표액 70억7천300만 원의 58.8%였다. 지난해 사랑의 온도탑 목표액은 올해 목표액보다 약 10억 적지만 이를 감안해도 같은 기간 약 17억 적은 금액이 모금된 셈이다. 충북도청 앞에 설치된 '2023 나눔 캠페인 사랑의 온도탑'은 지난 1일 제막해 내년 1월
[충북일보] "평범한 직장인도 기부 할 수 있어요." 변상천(63) ㈜오션엔지니어링 부사장은 회사 경영인이나 부자, 의사 등 부유한 사람들만 기부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11월 23일 2천만 원 성금 기탁과 함께 5년 이내 1억 원 이상 기부를 약속하면서 고액기부자 모임인 '아너 소사이어티'의 충북 72호 회원이 됐다. 옛 청원군 북이면 출신인 변 부사장은 2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에 부모님을 도와 소작농 생활을 하며 학업을 병행했다. 그의 집에는 공부할 수 있는 책상조차 없어 쌀 포대를 책상 삼아 공부해야 했을 정도로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 삼시 세끼 해결하지 못하는 어려움 속에서도 그의 아버지는 살아생전 마을의 지역노인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어려운 이웃을 위해 봉사했다. 변 부사장은 "어려운 가정환경이었지만 자신보다 더 어려운 이웃을 위해 봉사하시는 아버지의 뒷모습을 보며 자라왔다"며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오늘날의 내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 졸업 후 옥천군청 공무원을 시작으로 충북도청 건축문화과장을 역임하기까지 변 부사장은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나아지지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