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1.05.24 18:12:02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조혁연 대기자

누각(樓閣)과 정자(亭子)는 혼동되는 면이 있다. 한자가 둘의 차이점을 어느 정도 설명해 주고 있다. 누각 할 때의 '다락樓' 자는 마치 이층집 모습을 하고 있다. 바로 누각은 1층은 기둥만 세운 채 벽을 비우고 2층에는 마루를 깐 건축물로, 관아에서 부속 건물로 짓는 경우가 많았다.

정자는 규모가 누각보다 작으면서 1층으로만 지어지면서, 과거 선비 개인의 피서나 음풍농월 장소로 주로 이용됐다. 누각과 정자의 공통점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동국여지승람에는 '누허즉능납만경'(樓虛則能納萬景)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의역하면 '누각이 비어 있어야 주변의 많은 경치를 불러들일 수 있다'는 뜻이다. 우리 선조들은 취경 즉, 경치를 불러들이기 위해 누정에 벽과 문을 설치하지 않았다. 선사상은 '마음을 비워야 선행을 쌓을 수 있다'고 가르치고 있다. 둘은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충북에도 유명한 누정이 적지 않다. 지명도가 높은 누정으로 제천 청풍의 한벽루(보물 제528호)와 영동 황간의 가학루(도유형문화재 제 22호) 등이 있다. 청풍 한벽루는 물가, 가학루는 추풍령 바로 밑의 영로(嶺路) 변에 위치하고 있다.

가학루는 조선 태종 3년(1403)에 당시 황간현감 하담(河澹)이라는 인물이 처음으로 세웠다. 이후 숙종 42년(1716)과 정조 5년(1781) 그리고 일제 강점기인 1930년에 각각 중수를 해 오늘에 이른다.

가학루할 때의 가학은 '탈 駕'와 '학 鶴' 자로, 당시 경상도 관찰사 남재(南在·1351∼1419)가 이름지었다. 의역하면 '마치 학이 바람을 타고 떠다니는 듯 하다' 정도가 된다. 이첨(李詹·1345∼1405)이 가학루 기(記)에 남개의 작명 사연을 보다 자세히 밝혀 놓았다.

'공(公)이 두 번째 순시하러 왔다가 여기 올라가 보니 큰 산, 긴 골짜기의 구름과 달, 거친 터와 들, 물 위에 바람과 연기, 물고기가 냇물에 헤엄치며 흐르고, 새가 구름에 나는 조화(造化)의 묘한 것이 눈에 접하여(…) 공(公)은 이에 현판을 써서 가학(駕鶴)이라 했으니…'-<신증동국여지승람>

인용문에 등장하는 '공'은 남개를 말한다. 그는 조선 개국공신의 한 명으로, '이성계를 창업자로 추대하자'는 아이디어가 그의 머리에서 나왔다. <세종실록> 졸기는 그에 대해 '고려가 조선으로 세상이 바뀔 무렵에 태조를 추대하는 모략이 재(남재 지칭)한테서 많이 나왔고…'라고 적고 있다.

추풍령 북쪽사면을 넘어서면 바로 황간이고, 황간향교 앞에 있는 가학루는 그 초입에 위치하고 있다. 길가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오가는 사람들의 시선을 단번에 사로잡는다.

조선시대 뭇 문장가와 묵객들이 가학루의 경승(景勝)을 노래했다. 이중에는 당대 문호 서거정도 포함돼 있다. 본문에 등장하는 황주는 황간, 원유편은 중국 초나라 굴원이 지은 글을 말한다.

'황주(黃州)는 참으로 맑으니, 가서 머물고 싶네. 학은 날아 갔어도 누각은 그대로 있고, 산은 높고 물은 절로 흐르네. 나는 새의 등을 굽어보고, 바로 큰 자라 머리에 올랐네. 한없는 등림의 흥(興)은, 긴 노래로 멀리 원유편을 부르네.'-<신증동국여지승람>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