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1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1.04.05 18:19:17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조혁연 대기자

영남에서 추풍령 고개를 넘어서면 바로 만나는 곳이 영동 황간이다. 전략상 매우 중요한 곳으로 간주돼 왔다. 황간은 지금은 면(面)이다. 그러나 황간은 한 때를 제외하고 조선시대 내내 줄곧 현(縣)의 지위를 유지했다.

황간은 지금도 인구수가 적은 편이지만 조선시대 때도 궁벽한 곳이었다. 세종실록 지리지를 보면 당시 인구가 적었고, 족제비털, 송이같은 토산물이 많이 나왔다. '궁벽'은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나 실록에는 자주 등장한다. 매우 후미지고 으슥하다는 뜻이다.

'호수가 3백 8호요, 인구가 7백 42명이다. (…) 땅이 메마르며, 기후가 많이 차다.토공(土貢)은 족제비털(黃毛)·지초(芝草)·수달피·삵괭이가죽이요, 토산(土産)은 송이(松茸)이다.'-<세종실록지리지>

인용문 중 토공은 해당지역 토산물로 궁궐에 진상하는 것을, 토산은 해당 지역에서 생산되나 진상 대상은 아닌 품목을 말한다. 황간의 이같은 모습은 중종(16세기) 대에 이르러서도 거의 변하지 않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중종 25년(1530)에 이행(李荇) ·홍언필(洪彦弼) 등이 동국여지승람을 증보한 지리서다. 다음과 같은 표현이 등장한다.

'소나무와 참나무가 하늘을 덮어 가장 그윽하고 깊숙한 데다가, 들짐승이 맘대로 뛰놀고 도둑들(왜구)이 노략질하기 때문에, 여기를 지나는 자는 여럿이 무리를 지어야만 비로소 다니곤 했다.'-<신증동국여지승람>

조선시대 때 충청좌도였던 충북에는 청주, 충주, 영동, 황간 등 4곳에 읍성이 존재했다. 이중 황간은 서두에 언급한대로 추풍령이라는 큰 고개를 머리 위에 이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런 국가 전략성인 중요성 외에 고개 통행인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도 읍성의 존재가 필요했다. 기록상 황간읍성은 왜구의 잦은 출몰에 대응하기 위해 이미 고려말에 성을 쌓기 시작했고, 그후 여러번 보강이 있었다. 조선 중종 때도 방치됐던 읍성을 정비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경오년에 지금 공주 목사로 있는 영주(永州) 이언이 전삼사좌윤으로서 비로소 이 고을 감무(監務)가 되어 (…) 이에 나무를 베어내고 돌을 쪼개어 이 성을 쌓아서 며칠 안 되어 공사가 완성되어, 백성들은 성에 보전하게 되고…'-<신증동국여지승람>

조선 문인들이 황간에 대한 시를 적지 않게 남기고 있다. 재미있는 것으 그 시에 하나같이 '돌'(石)이 표현의 소재로 들어갔다는 점이다. 황간은 그만큼 궁벽한 곳이었다. 물론 지금은 그 오지성과 생태성이 큰 자산이 되고 있다.

'이첨(李詹)의 시(詩)에, "온종일 거문고 타고 밖에 나가지 않아도, 돌밭에 물을 대어 농장이 족하네" 하였다. 고려 이지명(李知命)의 시(詩)에 "여러 봉우리 구름을 받쳐 솟아 있고, 맑은 냇물 돌에 부딪쳐 흐르네" 하였다. (…) 성윤문(成允文)의 시(詩)에, "초가 주막은 산밑에 의지했고, 외로운 성은 돌 머리를 베고 있네" 하였다.'-<신증동국여지승람>

황간읍성은 구교동 마을 뒤 해발 301m의 산정과 그 남동쪽 능선을 감싸고 설축한 포곡식 석축산성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밭으로 경작되고 있고, 일부 지역에 화강석이 남아 있을 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