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어원으로 본 설날

고려때 茶 올리던 의식 '차례'로
설빔 - 설 맞아 몸 새롭게 꾸민다 뜻
윷놀이 - 윷가락 4개여서 나온 이름

  • 웹출고시간2011.01.30 22:08:00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편집자주

구제역 여파로 금년 설 분위기는 예년과 크게 다를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얼마전 구제역 차단을 위해 올 설 명절에는 고향 방문을 자제해 달라는 내용의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했다.

이것이 아니더라도 사회환경, 가족제도, 정보화시대 등의 영향으로 전통의 설 풍속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언어라는 집을 방문하면, 지금은 사라진 과거 설 풍속을 만날 수도 있다.

설빔, 차례, 파토났다(화투), 윷놀이, 떡값, 정월 등의 단어에서 설날 분위기를 물씬 느낄 수 있다. 이들 단어의 어원을 알아본다.

사전은 설빔이라는단어에 대해 '설에 새로 차려 입고 신는 옷, 신 따위'라고 적고 있다. 뒷말 '빔'의 뜻의 바로 와닿지 않는다. 지금도 도내 촌로들은 설빔을 '설비슴'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때의 '비슴'은 동사 '빗다'의 명사형으로, '빛내다', '꾸미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바로 설빔은 '설을 맞아 몸을 새롭게 꾸미는 행동' 정도를 의미한다. '설빗음'이 '설비슴', '설비음'을 거쳐 오늘날의 '설빔'이 됐다.

지금은 설날 아침에 조상께 술을 따르지 차(茶)를 올리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날 아침에 지내는 의식을 '차례'라고 부르고 있다. 지금도 그렇지만 스님들이 차를 많이 마시는 편이다.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시대에는 모든 의식에 차를 사용했다. 역성혁명으로 고려를 무너뜨린 조선왕조는 불교를 철저히 배척했고 따라서 제삿상에서 차가 점차 사라졌다. 그러나 언어로는 남아 있어, 설날 아침 의식을 '차례'라고 부르고 있다.

화토를 칠 때 그 판이 무효가 되면 우리 지역에서는 '파토났다'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는 '깨질 破'(파), '싸울 鬪'(투) 자를 쓴 '파투났다'가 바른 표현이다. 사전은 이를 '화투를 칠 때 순서가 바뀌거나 장이 모자라는 현상'이라고 적고 있다. 직역하면 '화투판이 깨졌다'는 뜻이다. '파투'할 때의 뒷말 '투'는 '화투'의 준말이다.

윷은 이른바 도·개·걸·윷·모로 말을 움직이는 놀이이다. 그런데 '모놀이'가 아닌 유독 '윷놀이'라고 부르고 있다. 민속학자들은 이에대해 윷가락이 4개인 점을 주목하라고 말하고 있다. 즉 윷놀이는 4개 가락을 던지며 길기는 놀이다.

이 경우 5개의 윷가락 중 4번째에 해당하는 것이 윷이다. 실제 한자로도 윷놀이를 척사(擲柶)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때 뒤 '사'자는 '木+四'로 돼 있다. 많은 숫자 중에 유독 '넉四' 자를 차용하고 있다.

명절 언저리에 자주 듣는 말이 '떡값'이다. 유감스럽게도 이 표현은 왜색적인 사연을 갖고 있다. 일본말로 담합은 '단고우'(だんごう)라 하고, 크기가 작은 떡은 '단고'(だん-ご)라고 한다. 발음이 매우 유사하다.

국내 공사업자들이 여기서 힌트를 얻어, 떡을 담합의 은어로 사용했다. 그리고 이들은 담합에 대한 댓가인 떡값을 주로 명절때 건넸다. 이후 명절이라는 시간성과 맞물리면서 이때 주는 특별수당을 '떡값'이라고 부르게 됐고, 점차 대중화 됐다.

1년 12달 중 유독 1월을 정월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와 관련 일부 어문학자들은 중국 진시왕 유래설을 제기하고 있다. 진시왕은 시호이지 이름은 아니다.

진시왕은 성은 '영', 이름은 '정'( 政) 자를 썼다. 바로 진시왕은 한해를 시작하는 1월을 자기 이름과 발음이 같은 '正' 자를 쓰도록 했다는 설이 있다. 政, 正 두 글자 모두 'zheng'으로 발음된다.

/ 조혁연 대기자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 "재정 자율화 최우선 과제"

[충북일보]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은 "도체육회의 자립을 위해서는 재정자율화가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윤 회장은 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3년 간 민선 초대 도체육회장을 지내며 느낀 가장 시급한 일로 '재정자율화'를 꼽았다. "지난 2019년 민선 체육회장시대가 열렸음에도 그동안에는 각 사업마다 충북지사나 충북도에 예산 배정을 사정해야하는 상황이 이어져왔다"는 것이 윤 회장은 설명이다. 윤 회장이 '재정자율화'를 주창하는 이유는 충북지역 각 경기선수단의 경기력 하락을 우려해서다. 도체육회가 자체적으로 중장기 사업을 계획하고 예산을 집행할 수 없다보니 단순 행사성 예산만 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선수단을 새로 창단한다거나 유망선수 육성을 위한 인프라 마련 등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달 울산에서 열린 103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충북은 종합순위 6위를 목표로 했지만 대구에게 자리를 내주며 7위에 그쳤다. 이같은 배경에는 체육회의 예산차이와 선수풀의 부족 등이 주요했다는 것이 윤 회장의 시각이다. 현재 충북도체육회에 한 해에 지원되는 예산은 110억 원으로, 올해 초 기준 전국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