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0.09.23 20:59:47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조혁연 대기자

조카(단종)의 보위를 유혈 쿠데타로 빼앗은 세조는 역대 왕과는 다소 다른 용인술(用人術)을 지녔다. 그는 자신에게 도전하거나 반발하는 인물은 단호하면서 매우 가혹하게 다뤘다.

양정(楊汀·?~1466)이라는 인물이 술에 취해 세조에게 "용퇴할 의사가 없는지"를 물었다가 도성문 밖에서 효수 당했다. 반면 계유정난 공신이나 순종하는 신하에 대해서는 왠만큼 큰 잘못이 아니면 '그럴 수도 있다'는 식으로 눈감아줬다.

대표적인 사례를 봉석주(奉石柱·?~1465)라는 인물을 통해 엿볼 수 있다. 그는 수양대군과 한명회 일파가 김종서와 황보인을 죽이는 계유정난 때 '갑주(甲胄)를 갖추고 궁시(弓矢)를 띠고 남문 내정(內庭)에 늘어서서 간적(姦賊)을 방비하여 엿보게 하는'(단종실록) 역할을 맡았다.

봉석주는 그 공으로 정난공신 2등에 책록되면서 송석동(宋石同)의 아내 소사(召史), 유응부(兪應孚)의 첩의 딸, 노비 15구 등을 받았다. 그리고 그는 전라도 차치사(處置使)로 임명돼 임지로 떠났다. '처치사'는 후에 '절제사'로 이름이 바뀌게 된다. 그는 여기서 심하다 할 정도로 탐욕을 부린 것으로 돼 있다. 사헌부가 상소를 올린다.

"봉석주가 전라도 처치사가 되어 첩(妾) 2명과 계집종 2명을 거느리고 가서 외람되게 군수(軍需)를 허비하였고, 또 군수 미곡(米穀)을 가지고 면화(棉花)를 샀으며, 또 백성의 토지를 겁탈하여 경작(耕作)하였으니, 청컨대, 핵문하여 과죄하게 하소서."-<세조실록>

그러나 세조는 공신이라는 이유로 사헌부의 청을 윤허하지 않는다. '전지하기를, "봉석주가 이미 내 앞에서 복죄(服罪)하였으니, 다시 물을 만한 일은 없고, 다만 죄를 결정하는 것뿐이다. 그러나 공신(功臣)이니 어찌 죄를 가(加)하겠는가" 하였다'.-<세조실록>

치죄에서 벗아난 봉석주는 이번에는 위세로써 박대년(朴大年·?∼1456)의 아내 해평윤씨를 취한다. 박대년은 박팽년의 아우로, 단종복위운동과 관련해 형 팽년과 함께 참형됐다. 그런 윤씨가 변심을 했고, 봉석주는 그녀의 아름다움에 취했다. 이 사실이 세조의 귀에 들어갔던 모양이다. 세조가 불만을 터트린다.

"너의 작위(爵位)는 모두 내가 내려 준 것인데, 너는 어찌하여 내 말을 듣지 않고 탐오한 것이 오히려 그러한가. 한 번 심하다고 말하였는데도 두 번 다시 하는 것이 옳겠느냐. 낯에 쇠가죽을 싼 것이 대저 몇 겹이냐"-<세조실록>

봉석주가 역모를 모의했다는 죄가 성립됐다. 이유는 "쇠가죽이 몇겹이냐" 등의 힐문에 따른 스트레스 누적으로 추정된다. 성종연간 한석규의 상소에서 일단 그 내용의 일부를 엿볼 수 있다.

'김처의와 최윤과 봉석주가 서로 더불어 의논하기를, '생명을 아끼지 않는 군사 20명만 얻으면 반란을 일으킬 수 있다.'고 했는데, (…) 그 실상은 봉석주가 수모자(首謀者)입니다'.-<성종실록>

그는 이 역모죄로 인해 참수됐고, 아들도 연좌제에 따라 극형을 당했다. 봉석주는 우리고장과 인연을 맺고 있다. 그의 사당이 보은군 회북면 마동리에 위치한다. 그러나 얼마 되지 않은 연산군 때 자손들의 상소로 죄가 씻기고 관직이 획복됐다. 따라서 그가 실제 역모를 도모했는지 여부는 다소 불투명하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박해운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동계훈련으로 전국체전 6위 탈환 노릴 것"

[충북일보] 박해운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이 "이달부터 동계 강화훈련을 추진해 내년도 전국체전에서 6위 탈환을 노리겠다"고 밝혔다. 박 사무처장은 1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전국체전에서는 아쉽게 7위를 달성했지만 내년 전국체전 목표를 다시한번 6위로 설정해 도전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달 초 사무처장에 취임한 박 사무처장은 "우수한 성적을 거두기 위해선 우수한 선수가 필요하고, 우수한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선 예산이 필수"라며 "전국 최하위권 수준에 있는 예산을 가지고 전국에서 수위를 다툰다는 점에선 충북지역 체육인들의 열정과 땀의 결실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체육 분야에 대해서만 예산지원을 요구할 수 없는 입장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적 향상을 위해 예산 확보를 위해 다각적으로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박 사무처장은 도체육회 조직확대 계획도 밝혔다. 현재 24명의 도체육회 인원을 29명으로 증원시키고 도체육회를 알려나갈 홍보 담당자들에 대해서도 인원을 충원할 방침이다. 박 사무처장은 "현재 도체육회의 인원이 너무 적어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며 "전국에서 가장 도세가 약한 제주도의 경우에도 체육회에 30명이 넘는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