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0.07.01 18:52:40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조혁연 대기자

이색(李穡·1328~1396)은 고려가 망했음에도 끝까지 지조를 지켜 삼은(三隱)의 한 명으로 불린다. 이색과 이성계는 처음에는 사이가 나쁘지 않았다. 이성계가 동북면 도지휘사가 되어 여진족을 정벌하러 나가자 이색이 시를 지어 전송한다.

'송헌(松軒)의 담기가 무신을 뒤덮으니 / 만리장성이 한몸에 맡겨졌네 / 분주하면서 몇 번이나 다사한 시기를 지냈던고 / 돌아오면 함께 태평한 날을 즐길 것이네(…)'(태조실록) 본문 중의 '송헌'은 이성계를 지칭한다.

위화도 회군후 두 사람 관계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조민수와 이색은 우왕을 옹립, 즉위하게 했다. 이는 이성계 일파를 견제하기 위함이었다. 의도와 달리 이성계 일파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이색은 고난의 길을 걷게 된다. 이때부터 유배와 복권이 반복된다. 1389년 오사충(吳思忠)의 상소로 장단에 유배, 이듬해 함창으로 이배됐다. 1391년에 석방되어 한산부원군에 봉하여졌으나, 1392년 정몽주가 피살되자 금주(衿州)로 추방됐다가 여흥·장흥 등지로 유배된 뒤 석방됐다.

이성계가 이색을 완전히 외면하거나 버린 것은 아니었다. 무신 이성계는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 즉 학구적인 요소를 이색에게 찾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색을 자기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곡식을 내려보내고, 또 한산백(韓山伯)에 봉하여 벼슬길에 나올 것을 종용한다. 그러나 이색은 끝내 이성계 사람이 되기를 거부하고 산천경계를 유람한다.

'태조가 말하기를, "가르침을 받기를 원하노니, 덕이 적고 우매하다고 해서 버리지 마오" 하거늘 공이 말하기를, "망국의 대부는 보존하기를 도모하지 못하오. 다만 마땅히 나의 해골을 가져다가 고산(故山)에 묻을 뿐이요" 하고, 드디어 나가 버렸다'.(연려실기술) 이때의 '공'은 이색을 지칭한다.

그러자 태조 이성계는 이색이 자유인이 되는 것을 방임하고, 이색은 유유자적하던 중에 생의 마지막을 맞는다. '을해년(1395)까지 한산ㆍ여주ㆍ오대산에 출입했는데, 태조가 옛 친구의 예로 대접하여 공이 가고 싶은 곳에 가도록 맡겨 두었다. 병자년(1396) 5월에 태조에게 청하여 여강(驪江·여주)에 피서하러 갔다가 배에 오르자 갑자기 죽었다'. (연려실기술) 정도전 등 고려말 신진사류는 불교를 싫어하다 못해 경멸했다. 이색은 달랐다. 그는 유교의 입장에서 불교를 이해하고자 한 유연한 사고의 소유자였다. 태조실록 내용이다.

'정총이 아뢰었다. "전하께서 어찌 불사(佛事)에 정성껏 하십니까. 청하옵건대, 믿지 마옵소서"

임금이 말하였다. "이색은 유학의 종사(宗師)가 되었는데도 불교를 믿었으니, 만약 믿을 것이 못된다면 이색이 어찌 이를 믿었겠는가". 정총이 대답하였다. "이색은 세상에서 학식이 높은 선비가 되었는데도 남에게 비난을 받는 것은 진실로 이것 때문입니다". 임금이 말하였다. "그렇다면 이색이 도리어 그대에게 미치지 못한다는 말인가. 다시 말하지 말라".

청주 주성동에 목은영당이 위치하고 있다. 목은은 한산(지금의 서천) 사람이다. 그럼에도 청주에 영당이 위치하는 것은 목은이 한때 청주옥(지금의 중앙공원 일대)에 갖힌 사건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진천 이월에 이색의 후손인 한산이씨가 많이 거주한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