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분열된' 청원사랑포럼… 속내는?

며칠새 두패로 나뉘어 통합 찬반 갈등
"특정정당 간접지지 아니냐"의혹 일어

  • 웹출고시간2010.05.31 19:00:56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청원사랑포럼의 속내가 궁금하다."

'청주·청원 통합'에 반대입장을 보였던 청원사랑포럼이 '6·2지방선거'를 코앞에 두고 구성원간 양패로 나뉘어 잇따라 기자회견을 자청하면서 통합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청원사랑포럼은 지난 24일 청원군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각 정당, 충북지사 후보, 청주시장, 청원군수를 비롯해 모든 후보들이 전원 임기 내 청주·청원 통합을 공약하고 있는 상황에서 (청원사랑포럼)더 이상 반대입장을 유지할 수 없게 됐다"며 사실상 행정구역통합에 찬성입장으로 선회했다.

포럼은 "(청원사랑포럼의) 통합에 대한 그동안의 기본 입장은 무조건 반대만 하는 것이 아니라 주민투표를 통한 주민들의 직접 결정에 따르는 것"이라며 "지방선거를 목전에 두고 통합에 미온적이던 정당과 후보들이 갑자기 임기 내 통합을 추진하겠다는 공약 발표하면서 군민들이 혼란에 빠져있어 청주, 청원이 함께 공동 발전할 수 있는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고 명분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청원군민의 행복과 선택권을 충족시키기 위해 각 정당과 후보자들에게 통합 인센티브 이행 등 통합의 구체적인 정책 실천 방안에 대해 공개 질의키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며칠도 지나지 않아 31일 청원사랑포럼 청년위원회가 기자회견을 자청해 그동안 주장한대로 진정성 없는 통합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청년위는 이날 군청브리핑룸에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방향으로 통합이 논의돼야 함에도 자질이 부족한 일부 단체장 출마자들이 한심한 짓으로 다시 통합을 부르짖고 있어 더 이상의 통합논의를 거부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남 후보가 방송 토론회에서 '교도소는 국가기관이고 지역경제가 살아나는 시설이기 때문에 청원군지역에 이전하겠다'고 발언했다. 지역경제가 살아나는 시설을 왜 이전하려는지 상식을 넘는 발언"이라며 남 후보를 직접 겨냥하며 비판했다.

그러면서 "청원군과 청주시는 대등한 위치에서 통합논의가 이뤄져야 하고 흡수·강제적 통합 논의는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며 "지방선거가 끝나면 청원시 승격과 청원군청 이전을 진진하게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각 정당과 대표후보들이 표를 의식한 대안도 없는 청원·청주 통합논의를 즉각 중단하고 소모적인 논쟁 보단 청원·청주가 서로 상생하며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길 바란다"며 "청원사랑포럼도 순수 민간단체임을 분명히 알고 정치권에 휘말리지 말고 군민의 대변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처럼 청원사랑포럼 내 구성원간 통합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차와 특정후보의 비판에 대해 일각에서는 특정정당의 통합론을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과 함께 포럼 내 내홍이 향후 민선5기의 통합논의에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별취재팀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