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푸른옷의 그들 '거리의 법' 외치다

청주 흥덕모범운전자회 25일 '법의 날' 맞아 교통질서·준법교육 강조
"관리감독 부분 철저해야"

  • 웹출고시간2010.04.22 20:36:37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편집자 주

오는 25일은 47회 '법의 날'이다. 지난 1895년 4월25일 재판소구성법이 최초로 시행돼 근대적인 사법제도가 시작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그러나 법 경시 풍조는 여전하다. 특히 기초질서의 붕괴는 심각한 수준이다. 거리는 늘 무단횡단자와 신호위반차량으로 뒤덮여 있다. 이런 가운데 '거리의 법'을 지키자고 외치는 사람들이 있다. 푸른 옷을 입은 그들, '청주 흥덕모범운전자회' 회원들이다.

흥덕모범자회 회원들은 지난 1월19일 청주 흥덕구 봉명사거리에서 교통질서 준수 캠페인을 열었다. 모범운전자회는 차량 및 보행자 안전에 관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거리에서 택시나 버스를 타다보면 왼쪽 어깨에 'BEST DRIVER'라고 적힌 마크를 단 기사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들이 바로 모범운전자회 회원들이다.

모범운전자가 되는 길은 쉽지 않다. 우선 최소 3년간 사고가 없어야 한다. 운전을 직업으로 하면서 사고를 내지 않는 다는 게 쉬운 일만은 아니다.

전과도 없어야 한다. 까다로운 모든 절차를 통과한 사람에게만 주어지는 'BEST DRIVER' 마크. 그래서 모범운전자들은 누구보다 이를 자랑스러워한다. 때문에 운전뿐만 아니라 사생활에서도 늘 법을 지키려 노력한다.

그러나 그들도 "한국에서 택시운전을 직업으로 하며 법을 철저히 지키는 게 쉽지만은 않다"고 토로한다.

청주흥덕모범운전자회 이수일(58) 회장은 "신호등 너머에 택시를 기다리는 손님이 있으면 조급한 마음에 신호를 무시하고 싶을 때도 있다"며 "그러나 푸른 제복을 부끄럽게 하는 일은 하지 않는다는 게 모범운전자의 자존심"이라고 말했다.

이들에게 우리 교통질서 수준에 대해 물어보자 "아직 멀었다"고 했다. 모범운전자들은 "꼬마 손을 붙잡고 무단횡단을 하는 엄마들을 자주 본다"고 입을 모았다.

이런 경우는 사고위험도 높다. 아이 걸음이 빠르지 않아 자주 넘어지기 때문이다. 아무리 학교에서 준법교육을 시켜봤자 부모부터 잘못된 교육을 시키고 있는 것이다.

택시경력 20년의 김종만(53·흥덕모범운전자회)씨는 교통법규를 지키는 것은 모범운전자의 '자존심'이라고 말한다.

택시운전 경력 20년인 김종만(53) 기사는 "법은 습관 아닌가. 법을 어기는 것부터 배운 아이가 커서 뭐가 되겠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불법 주차 차량도 거리질서를 위협하는 암적인 존재다. 이날 만난 대부분의 모범운전자들은 불법 주차된 차에 가려 보행자를 보지 못해 사고 날 뻔한 경험이 있다고 했다.

법은 있지만 무용지물인 상황에 대해 모범운전자들은 관리감독을 소홀히 하는 당국을 질책했다.

온성근(57·흥덕모범운전자회 감찰부장)씨는 "무단횡단, 불법주차 등을 하지 말라는 법은 이미 다 마련된 것 아닌가"며 "법은 있지만 단속, 처벌 등 관리감독 부분이 약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 강현창기자 anboyu@gmail.com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 "재정 자율화 최우선 과제"

[충북일보]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은 "도체육회의 자립을 위해서는 재정자율화가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윤 회장은 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3년 간 민선 초대 도체육회장을 지내며 느낀 가장 시급한 일로 '재정자율화'를 꼽았다. "지난 2019년 민선 체육회장시대가 열렸음에도 그동안에는 각 사업마다 충북지사나 충북도에 예산 배정을 사정해야하는 상황이 이어져왔다"는 것이 윤 회장은 설명이다. 윤 회장이 '재정자율화'를 주창하는 이유는 충북지역 각 경기선수단의 경기력 하락을 우려해서다. 도체육회가 자체적으로 중장기 사업을 계획하고 예산을 집행할 수 없다보니 단순 행사성 예산만 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선수단을 새로 창단한다거나 유망선수 육성을 위한 인프라 마련 등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달 울산에서 열린 103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충북은 종합순위 6위를 목표로 했지만 대구에게 자리를 내주며 7위에 그쳤다. 이같은 배경에는 체육회의 예산차이와 선수풀의 부족 등이 주요했다는 것이 윤 회장의 시각이다. 현재 충북도체육회에 한 해에 지원되는 예산은 110억 원으로, 올해 초 기준 전국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