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낙태 허용선 놓고 의견분분

헌행법상 범죄… "제한적 인정해야"
찬반논란 속 보건복지부 근절 나서

  • 웹출고시간2010.03.16 19:35:30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14세 조카가 임신을 했는데 상대방은 13살입니다. 낙태를 결정하고 30곳이 넘는 병원을 다녔지만 낙태를 해주겠다는 병원이 한 곳도 없습니다."

최근 프로라이프(Pro-Life) 의사회 게시판에 중학교 1학년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사이에서 생긴 아이를 어떻게 낳아 키울 수 있느냐는 원성의 글이 올라왔다.

낙태를 반대하는 일부 의사들로 구성된 프로라이프의사회가 지난달 3일 3곳의 산부인과 병원을 불법낙태 시술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면서 불법낙태 처벌 여부를 둘러싼 논쟁이 뜨겁다.

우리나라에서 낙태는 명백한 범죄다. 형법 상 임신한 여성이 약물 등을 이용해 낙태를 하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 의료인이 시술을 하면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진다.

낙태를 범죄로 규정한 것은 1953년 형법 제정 당시부터다. 하지만 한때 정부는 90년대 중반까지 보건소에서 낙태시술을 허용한 바 있으며, 현행 모자보건법은 형법과 달리 성폭력에 인한 임신 등 일부에 한해 낙태를 인정하고 있다.

이처럼 제한적으로만 낙태가 허용되면서 수사기관의 단속 실적도 미미하다.

충북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도내에서 낙태죄로 입건된 건수는 단 두 건이다.

한 경찰 관계자는 "낙태죄는 사실상 사문화된 조항"이라며 "강제 낙태 같은 극단적인 경우를 제외하곤 적극적인 단속의 필요성을 못 느껴왔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낙태근절을 표방하고 나섰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일 '보건복지 129 콜센터' 내에 불법 낙태 의료기관 신고센터를 개설하고, 실명 신고 건에 대한 현장조사를 거쳐 신고 내용이 사실로 드러나면 수사기관에 고발한다 내용의 '불법 인공임신중절예방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산부인과 의사들은 이 문제에 대해 조심스러운 반응이다. 청주시 모 산부인과 원장은 "웬만한 산부인과에서는 보호자만 데려오면 쉽게 낙태시술을 해준 것이 사실"이라며 "지금은 낙태에 어떤 입장도 표명하고 싶지 않다"며 말을 아꼈다.

/ 강현창기자 anboyu@gmail.com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신년> 나경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인터뷰

[충북일보] ◇취임 두 달이 지났다. 그동안의 소회 말씀해 달라 2016년 국회 저출산고령사화특귀 위원장을 하면서 출산율 제고와 고령화 정책에 집중했다. 지난 6년간 대한민국 인구구조는 역피라미드로 갈 수밖에 없는 흐름이다. 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인구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큰 틀에서의 인구미래전략이 필요하다. 취임 후 위원회가 해온 일을 살펴보고 관계부처, 관련 전문가, 지자체, 종교계, 경제단체 등 각계각층과 의견을 나눴는데 아직 연계와 협력이 부족하다. 위원회가 정책을 사전에 제안하고 부처 간 조정 역할을 강화해 인구정책 추진에 매진할 계획이다. ◇인구정책 컨트롤타워로서 위원회의 인구미래전략 비전과 방향은 현재 극심한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구조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위원회는 피할 수 없는 초고령사회를 대비하는 '미래 100년 준비'를 시작한다. 인구구조에 영향을 받는 산업, 교육, 국방, 지역 등 전 분야의 준비를 통해 사회구성원 모두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탄탄한 미래를 설계하고자 한다. 인구구조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출산율 제고는 반드시 필요하다. 새해에는 '2023년 응애! 응애! 응애!' 구호를 펼친다. 젊은 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