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09.05.18 18:42:40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지난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었다. 어렸을 때 부터 우리는 자연스럽게 학교를 다니고 ,친구를 사귄다. 물론 평생 은인이 될 수 있는 스승도 만난다. 학교를 다니면서 많은 것을 성장시키고 배우는 우리에겐 스승은 좋은 본보기가 되어야한다. 하지만 가끔은 언론에 교생 실습 나온 여대생들을 성추행 했다는 사건등을 비롯한 교사로서의 부적격한 모습이 가끔 나오곤 한다.

과연 우리 청소년들의 지성과 인격을 향상 시켜 줄 수 있는 좋은 교사는 어떤 의미일까?

예전부터 어른들은 스승님을 존경 해야 한다고 우리에게 늘상 말해 오셨다.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는 말은 스승을 존경하기 때문에 감히 그림자조차도 밟을 수 없다는 것이다.15일 스승의 날을 앞두고 과연 얼마나 스승에 대한 존경심을 가지고 있는지 돌아보게 된다.사람들은 흔히 "오늘날 스승은 있는가"라는 질문을 한다.아마 이 물음은 "스승이 없다"는 쪽을 전제하는 듯하다.하지만 우리에게는 삶의 목표도 없던 제자들의 발을 씻겨 주고 인생에 큰 영향을 준 스승이 있다.

교사는 '교실'이라는 작은 화원의 '정원사'다.학생을 화초 삼아 교육이라는 보살핌을 통해 아름다운 꽃이 피게 한다.세상의 많은 직업 가운데 한 사람의 삶에 깊은 흔적을 남길 수 있는 일이 있다면 단연 교사를 꼽는 이유다.그만큼 교사는 높고 귀한 존재이며 책임 또한 막중하다.결코 지식이나 가르치고 월급이나 받는 사람으로 치부해선 안 된다.스승의 참사랑과 큰 은혜를 다시 생각해 보자. 스승을 존경하는 교육 풍토를 만들어보자

충북일보 홈페이지/ 박승애 milk3712@hanmail.net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신년> 나경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인터뷰

[충북일보] ◇취임 두 달이 지났다. 그동안의 소회 말씀해 달라 2016년 국회 저출산고령사화특귀 위원장을 하면서 출산율 제고와 고령화 정책에 집중했다. 지난 6년간 대한민국 인구구조는 역피라미드로 갈 수밖에 없는 흐름이다. 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인구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큰 틀에서의 인구미래전략이 필요하다. 취임 후 위원회가 해온 일을 살펴보고 관계부처, 관련 전문가, 지자체, 종교계, 경제단체 등 각계각층과 의견을 나눴는데 아직 연계와 협력이 부족하다. 위원회가 정책을 사전에 제안하고 부처 간 조정 역할을 강화해 인구정책 추진에 매진할 계획이다. ◇인구정책 컨트롤타워로서 위원회의 인구미래전략 비전과 방향은 현재 극심한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구조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위원회는 피할 수 없는 초고령사회를 대비하는 '미래 100년 준비'를 시작한다. 인구구조에 영향을 받는 산업, 교육, 국방, 지역 등 전 분야의 준비를 통해 사회구성원 모두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탄탄한 미래를 설계하고자 한다. 인구구조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출산율 제고는 반드시 필요하다. 새해에는 '2023년 응애! 응애! 응애!' 구호를 펼친다. 젊은 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