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적십자 여성봉사특별자문위원회 위원들이 대한적십자사 충북지사에 희망성금을 기탁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효정 서기위원, 김미나 부위원장, 김경배 충북적십자 지사회장, 윤경숙 위원장, 이선옥 재무위원, 노자영 총무위원.
[충북일보] 충주의 중학교 신입생 배정 과정에서 일부 오류가 발생해 논란이다. 특히 배정 과정 오류로 인해 20%에 이르는 301명에 대한 재배정 추첨이 이뤄질 예정이어서 학생과 학부모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충주교육지원청 배승희 교육장은 9일 기자회견을 해 "지난 6일 진행한 중학교 입학추첨에서 집∼학교 근거리 순으로 추첨하는 2단계 배정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다만 전체의 80.36%인 1천231명(선배정자 118명 포함)에 대한 1단계 추첨에는 오류가 없었다고 했다. 이에 따라 교육청은 10일 오전 10시 2단계 배정을 다시 진행하는 한편 신입생 예비소집을 11일로 연기했다. 재배정 시뮬레이션 결과 대상자의 3분의 1인 100여명이 당초와 다른 학교에 배정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 중에는 선호도가 낮은 학교 배정 사례도 나올 것으로 보여 해당 학생과 학부모의 큰 반발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배 교육장은 "올해 처음 시행하는 근거리 배정 시스템 오류로 인해 학생·학부모께 혼란과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충주교육청은 학생들이 집에서 먼 학교에 배정되는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올해 새로운 배정 방
[충북일보] 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까지 충북 청주시 소재 충북대학교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주관한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렸다. 그러자 지역 곳곳에서 '무슨 일이 있느냐'는 문의전화가 빗발쳤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는 이날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린 배경에 대해 "기존에 국가재정전략회의는 국무총리와 장·차관 등 국무위원 중심으로 열렸다"며 "이번에는 다양한 민간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정책의 현실 적합성을 높이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해도 왜 굳이 충북대에서 이번 회의가 열렸어야 했는지 궁금증은 해소되기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또 하나의 특징은 회의 장소가 충북대라는 점"이라며 "기존에는 주로 세종청사나 서울청사에서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었는데, 충북대를 이번에 택한 이유는 지방 발전, 지역 인재 육성을 포함한 지방시대와 연계해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고자 하는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 또한 대통령의 의지라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일반 시민들의 궁금증을 해소시키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MZ세대인 충북대 학생들과 오찬 간담회를 열어 청년일자리, 지역인재 육성 등의 고민과
[충북일보]정부가 비영리 민간단체 국비 보조금사업 정비에 나선 가운데 충북도가 최근 3년 집행한 민간단체 보조금은 20억3천38만원이고, 충북도새마을회가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도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지원사업 보조금 지원(교부) 내역에 따르면 충북도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총 20억3천38만원의 보조금을 비영리 민간단체에 지원했다. 연도별로는 2020년 67개 단체 89개 사업에 5천9천330만 원, 2021년 74개 단체 103개 사업에 6억238만 원, 2022년 87개 단체 125개 사업에 8억3천470만 원이다. 충북도새마을회는 이 기간에 총 1억940만 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2020년에는 '함께하는 충북운동 실천을 위한 조직 및 사업현장 관리' 등 5건의 사업을 추진하면서 3천460만 원, 2021년 3천350만 원(5건), 2022년 4천130만 원(5건) 지원받았다. 이 단체가 추진한 '도민과 함께하는 1읍면동 1공동체 사업'의 경우 20202년과 2021년 보조금은 각각 1천만 원이었으나 2022년에는 1천700만 원으로 58.5%나 인상됐다. 국민독서 경진 충북도예선대회, 충북도새마을지
[충북일보] ◇취임 두 달이 지났다. 그동안의 소회 말씀해 달라 2016년 국회 저출산고령사화특귀 위원장을 하면서 출산율 제고와 고령화 정책에 집중했다. 지난 6년간 대한민국 인구구조는 역피라미드로 갈 수밖에 없는 흐름이다. 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인구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큰 틀에서의 인구미래전략이 필요하다. 취임 후 위원회가 해온 일을 살펴보고 관계부처, 관련 전문가, 지자체, 종교계, 경제단체 등 각계각층과 의견을 나눴는데 아직 연계와 협력이 부족하다. 위원회가 정책을 사전에 제안하고 부처 간 조정 역할을 강화해 인구정책 추진에 매진할 계획이다. ◇인구정책 컨트롤타워로서 위원회의 인구미래전략 비전과 방향은 현재 극심한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구조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위원회는 피할 수 없는 초고령사회를 대비하는 '미래 100년 준비'를 시작한다. 인구구조에 영향을 받는 산업, 교육, 국방, 지역 등 전 분야의 준비를 통해 사회구성원 모두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탄탄한 미래를 설계하고자 한다. 인구구조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출산율 제고는 반드시 필요하다. 새해에는 '2023년 응애! 응애! 응애!' 구호를 펼친다. 젊은 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