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영원한 리베로 유금식 단양군 배구협회장

가장 많은 전국 대회 유치로 지역 활성화 견인

  • 웹출고시간2021.11.03 13:05:08
  • 최종수정2021.11.03 13:05:08

전국에서 가장 많은 배구대회를 유치하며 배구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는 유금식 단양배구협회장.

ⓒ 단양군
[충북일보] 단양군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배구대회를 유치하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배구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 3월 열린 '단양소백산배 전국남녀9인제배구대회'를 시작으로 지난 3일 'CBS배 전국 중고남녀 배구대회'와 오는 13일 '박계조배 전국남녀9인제 배구대회' 등 굵직한 대회가 연달아 개최되며 수많은 배구인들이 단양지역으로 모이고 있다.

이렇듯 단양이 스포츠 강군으로 입소문 나며 한국 배구의 성지로 도약할 수 있었던 데에는 영원한 리베로 유금식 단양군 배구협회장의 숨은 노력이 결정적이었다.

끝 모를 배구 사랑에 빠진 그는 뛰어난 업무추진 능력을 바탕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배구대회를 유치하는 것은 물론 매년 청소년 대표팀, 실업팀, 국가대표팀 등 배구팀들이 단양으로 전지훈련을 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 열린 각종 대회를 통해 1만 여명에 달하는 선수단이 지역에 체류하면서 숙박비, 식비 등으로 지출한 비용들은 코로나19로 위축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며 큰 활력소가 됐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또 TV중계와 언론홍보에 따른 인지도 상승, 생활체육 저변확대 등으로 실제 지역에서 느끼는 스포츠마케팅의 경제효과는 폭발적일 것으로 군은 내다보고 있다.

실제로 각 대회 기간에는 도담삼봉, 만천하스카이워크 등 인근 관광지도 덩달아 들썩였으며 지역 식당들도 손님맞이에 더 분주한 하루를 보냈다.

2007년 단양군 배구협회장에 취임한 유 회장은 선수와 지도자 처우개선, 전국 단위 배구대회 유치 등에서 뛰어난 업무추진 능력을 인정받아 충청북도배구협회 부회장과 충청북도 생활체육협회 부회장, 한국중고배구연맹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충청북도체육회 이사, 충청북도배구협회 감사, 한국중고배구연맹 부회장, 한국대학연맹부회장, 대한배구협회 상임이사 등 중책도 맡고 있다.

중추적인 역할을 훌륭히 수행 중인 유 회장은 체육인의 위상을 드높였을 뿐만 아니라 종합병원이 없는 지역주민들을 위해 서울 대형병원과의 협약을 통해 입원과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도와 주민들의 칭송도 이어지고 있다.

유 회장은 "단양은 국민체육센터, 문화체육센터 등 우수한 체육 인프라와 관광, 숙박시설이 잘 구비돼 전국단위 대회 유치에 손색이 없다"며 "위드 코로나 시대가 온 만큼 스포츠 종목의 구분 없이 모든 체육행사가 활성화돼 지역경제가 살아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 회장은 지난해 '2020 대한민국 신지식 경영대상', '2020 혁신한국인&파워코리아 대상'을 연이어 수상했으며 올해 3월에는 '2021 대한민국 글로벌크라운 대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단양 / 이형수기자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