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1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어버이날 앞뒀지만…매맞는 부모들

도내 고령화율 17.1% 전국 7위
노인학대 신고 매년 600여건
가해자 10명 중 7명 직계가족
"신고 꺼려… 근본 원인 찾아야"

  • 웹출고시간2020.05.06 19:47:21
  • 최종수정2020.05.06 19:47:21

충북도내 지역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며 노인학대 등 부작용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어버이날을 이틀 앞둔 6일 청주 중앙공원을 찾은 노인들이 벤치에 앉아 한담을 나누고 있다.

ⓒ 김태훈기자
[충북일보] 고령화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가정 내에서 이뤄지는 노인학대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충북지역은 그동안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6일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도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27만3천425명으로, 전체 인구 160만7명의 17.1%에 달한다.

도내에서 고령화율이 가장 심각한 지역은 보은 33.1%(3만2천949명 중 1만909명)다.

이어 괴산 32%(3만9천163명 중 1만2천527명), 영동 30%(4만8천738명 중 1만4천601명), 단양 29.1%(2만9천756명 중 8천645명) 순이었다.

도민 절반 이상이 거주하는 청주지역은 83만9천566명 중 10만6천373명이 65세 이상 노인으로 분류돼 고령화율은 12.7%로 가장 낮았다.

충북의 고령화율은 17개 시·도 중 7위에 해당했다.

충북보다 고령화율이 높은 지역은 △전남 22.6% △경북 20.6% △전북 20.4% △강원 19.6% △부산 18.2% △충남 18.2% 등이었다.
고령화율이 높아지면서 노인학대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3년간(2016~2018) 도내에서 접수된 노인학대 의심 신고 건수는 2016년 589건·2017년 649건·2018년 619건 등 모두 1천857건. 이중 노인학대로 판정된 것은 498건이다. 지난해 노인학대 판정 건수가 오는 6월 발표되는 점을 감안하면 노인학대는 전년 대비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문제는 노인학대 가해자 대부분이 자녀·배우자 등 가족이어서 피해자들의 적극적인 신고가 어렵다는 점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광수 의원이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발표한 '2016~2018년 노인학대 현황'을 보면, 전국에서 발생한 노인학대 1만4천90건 중 1만855건(70.5%)의 가해자는 직계 가족인 것으로 드러났다.

아들이 가해자인 경우는 5천748건(37.3%)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배우자 3천772건(24.5%)·기관 1천884건(12.2%)·딸 1천335건(8.7%) 순이었다.

직계 가족에 의한 학대는 2016년 3천156건(68.1%)에서 매년 증가하고 있었다.

노인학대 발생 장소는 가정이 1만2천544건(89%)으로 압도적이었다.

충북도의회는 최근 충북지역이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충북도 노인 학대 예방 및 보호 조례안'을 만들어 입법 예고를 마쳤다.

조례안을 보면 도지사는 노인 학대 예방과 보호에 관한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추진 계획을 매년 수립해 시행해야 한다.

도내 한 사회복지사는 "노인학대의 궁극적인 문제는 가정 내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피해 노인들이 신고를 꺼리는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령화율이 높아지면 노인학대 등 부작용이 계속해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라며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 강준식기자 good12003@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