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청주시내 10년이상된 노후 수도관 61%

수돗물 사용 7월이 가장 많아

  • 웹출고시간2008.12.03 19:38:38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청주시내의 수도관중 10년 이상된 노후 수도관이 전체의 61%인 것으로 나타났고 청주시민들이 수돗물을 가장많이 사용하는 달이 7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시에 따르면 현재 청주시내에는 145만2천990m의 수도관이 지하에 매설돼 있다. 이중 10년이내의 수도관은 55만5천289m, 11~20년이 60만347m, 21년 이상된 수도관이 29만7천354m가 있다.

이중 도수관이 1만9천971m, 송수관이 2만3천733m, 배수관 85만867m, 급수관 55만8천419m 가 있다.

이에따라 청주시는 노후관 개량공사를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10월말까지 21억8천400여만원을 들여 8천125m의 노후관을 교체했다.

또 올해 청주시내에서 상수도의 단수가 발생한 것은 모두 7회로 긴급누수처리가 4건, 관연결이 3건 등으로 조사됐다.

또 단수시간은 모두 12시간 30분으로 평균적으로 단수가 된지 2시간여 만에 복구를 완료했다.

올해 상수도관 파열사고는 모두 3건으로 도시가스 공사중 2건, 하수도 공사 1건 등으로 누수량은 모두 304㎥로 시는 수도관을 파열시킨 업체에 57만7천원의 변상금을 부과했다.

청주시는 수돗물 절수를 위해 올해 3천750개 등 지난 99년부터 보무 15만6천944개의 절수기를 보급했다.

마을 상수도는 모두 23개소로 2천867명의 시민이 이용하고 있다. 이들 모두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연중 수돗물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달이 7월로 수돗물 생산량이 798만1천34㎥로 일일평균 25만7천452㎥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2월이 가장 적은 630만5천133㎥로 일일평균 21만7천418㎥이었다.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10월까지 1년간 생산 수돗물은 8천746만7천721㎥로 이중 생활용수가 6천885만7천61㎥, 공업용수가 1천861만660㎥이었다.

상수도 사용료는 60만7천293건에 349억3천41만6천원이 부과돼 이중 54만4천845건 336억3천558만9천원이 징수됐고, 체납액은 6만2천448건에 12억9천400여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사용료 징수를 위해 체납액 징수기간을 운영하고 고액체납자를 중심으로 강력한 단수조치를 위하고 있다"며 "징수가 불가능한 65건에 대해서는 법적인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 김병학기자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박해운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동계훈련으로 전국체전 6위 탈환 노릴 것"

[충북일보] 박해운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이 "이달부터 동계 강화훈련을 추진해 내년도 전국체전에서 6위 탈환을 노리겠다"고 밝혔다. 박 사무처장은 1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전국체전에서는 아쉽게 7위를 달성했지만 내년 전국체전 목표를 다시한번 6위로 설정해 도전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달 초 사무처장에 취임한 박 사무처장은 "우수한 성적을 거두기 위해선 우수한 선수가 필요하고, 우수한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선 예산이 필수"라며 "전국 최하위권 수준에 있는 예산을 가지고 전국에서 수위를 다툰다는 점에선 충북지역 체육인들의 열정과 땀의 결실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체육 분야에 대해서만 예산지원을 요구할 수 없는 입장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적 향상을 위해 예산 확보를 위해 다각적으로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박 사무처장은 도체육회 조직확대 계획도 밝혔다. 현재 24명의 도체육회 인원을 29명으로 증원시키고 도체육회를 알려나갈 홍보 담당자들에 대해서도 인원을 충원할 방침이다. 박 사무처장은 "현재 도체육회의 인원이 너무 적어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며 "전국에서 가장 도세가 약한 제주도의 경우에도 체육회에 30명이 넘는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