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농업기술센터가 상당구 가덕면에 조성한 잡곡단지에 수수 품종인 '소담찰'이 자라고 있다.
청주시농업기술센터가 상당구 가덕면에 조성한 잡곡단지에서 수수 품종인 '소담찰'이 재배되는 가운데 센터 직원과 농업인들이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
[충북일보]공무국외출장 중인 충북도의회 A의원이 비행기 안에서 음주추태를 부렸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27일 충북도의회에 따르면 A의원이 소속된 건설소방위원회 의원 7명과 직원 3명은 지난 21일 유럽 연수길에 올랐다. 인천공항을 출발해 독일 프랑크프루트로 향하는 비행기를 같이 탄 한 승객은 항공기 안에서의 목격담을 일부 언론사에 제보했다. 이 제보에 따르면 A의원은 출발 전 양복 구겨지지 않게 보관해 달라고 스튜어디스(승무원)한테 요구했고 승무원은 빈자리 많으니 적당한데 직접 보관하라고 응대했다. A의원은 비행기가 이륙하자마자 맥주를 달라고 했으며 14시간 비행 내내 취해 있었다. 계속 술을 추가하자 승무원이 그만 먹길 권했지만 막무가내로 술을 요구했다. 또 바쁘게 일하는 승무원을 불러 지금 비행기 고도, 속력이 얼나마 되나를 물었고, 취해서 혼자 떠들어 주변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제보자는 "국민 세금으로 가는 공무 연수 길에서 비행기 이륙하자마자 술부터 찾는 도의원의 행동은 매우 부적절해 보인다"면서 "과연 제대로 된 연수를 하고 올까요? 연수 중에는 술을 안 마실까요, 민폐짓을 해외에선 안할까요?"라며
[충북일보] 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까지 충북 청주시 소재 충북대학교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주관한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렸다. 그러자 지역 곳곳에서 '무슨 일이 있느냐'는 문의전화가 빗발쳤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는 이날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린 배경에 대해 "기존에 국가재정전략회의는 국무총리와 장·차관 등 국무위원 중심으로 열렸다"며 "이번에는 다양한 민간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정책의 현실 적합성을 높이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해도 왜 굳이 충북대에서 이번 회의가 열렸어야 했는지 궁금증은 해소되기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또 하나의 특징은 회의 장소가 충북대라는 점"이라며 "기존에는 주로 세종청사나 서울청사에서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었는데, 충북대를 이번에 택한 이유는 지방 발전, 지역 인재 육성을 포함한 지방시대와 연계해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고자 하는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 또한 대통령의 의지라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일반 시민들의 궁금증을 해소시키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MZ세대인 충북대 학생들과 오찬 간담회를 열어 청년일자리, 지역인재 육성 등의 고민과
[충북일보] 국민의 투철한 민족정신과 국가관을 정립하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꼽으라면 천안독립기념관이 떠오른다. 천안독립기념관은 1987년 8월 15일 온 국민의 정성어린 성금으로 건립돼 국내외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전국적으로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충주에도 이런 시설이 있다. 충주항일독립운동역사관이 대표 시설이다. 3월 1일을 앞둔 2월 27일 항일독립운동역사관을 찾았다. 2018년 10월에 개관한 역사관은 355.1㎡ 부지에 면적 882.72㎡ 지상 4층 규모로 조성된 전시관이다. 1층은 광복회 사무실, 2~4층은 전시실로 사용되고 있다. 제1전시관이 있는 2층에 오르기 전 계단 벽면에는 기미독립선언서가 원문으로 있다. 역사관에서는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연표와 충청북도의 3.1운동 현황, 독립운동 인맥도, 대한민국 초기 내각 인적 계승, 충북지방 만세 시위, 충북의 의병 전쟁 상황, 충북지역 의병유적지, 광복군 창설 등 항일독립운동 관련 자료와 유물 250여 점을 만나 볼 수 있다. 일제의 만행에 대한 사진도 있다. 충주에서 유명한 독립만세 운동은 용원 만세운동이라고도 불리는 신니면민 독립 만세운동이다. 1919년
[충북일보] 조길형 충주시장이 공익적 차원에서 시민골프장 조성 계획을 세우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비싸진 골프장 요금과 관련해 시민들이 골프를 부담 없이 즐길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인데, 갑론을박이 뜨겁다. 자치단체장으로서 상당히 부담스러울 수 있는 시민골프장 건설 계획을 어떤 계기에서 하게됐는지, 앞으로의 추진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여부에 대해 들어보았다. ◇시민골프장을 구상하게 된 계기는. "충주의 창동 시유지와 수안보 옛 스키장 자리에 민간에서 골프장 사업을 해보겠다고 제안이 여럿 들어왔다. '시유지는 소유권 이전', '스키장은 행정적 문제 해소'를 조건으로 걸었는데, 여러 방향으로 고심한 결과 민간에게 넘기기보다 시에서 직접 골프장을 만들어서 시민에게 혜택을 줘야겠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충주에 골프장 많음에도 정작 시민들은 이용할 수가 없는 상황이 안타까웠다." ◇시민골프장 추진 계획은. "아직 많이 진행되지는 않았지만, 오랜 기간의 노력을 들여 전체 과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볼 수 있는 시민의 공감을 확보했다. 골프장의 필요성과 대상지에 대해 시민들이 고개를 끄덕여 주셨다. 이제는 사업의 실현가능성 여부를 연구하는 용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