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7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신이 내린 장수채소 '명월초' 출하 한창

건강웰빙 쌈 채소로 인기, 영동군 학산면 도덕리 박종길씨부부 재배

  • 웹출고시간2015.08.24 09:57:10
  • 최종수정2015.08.24 09:57:10

영동군 학산면 도덕리 박종길·김금순씨 부부가 출하를 위한 '명월초' 수확이 한창이다.

[충북일보=영동] 영동에서 향긋한 냄새와 아삭한 식감이 일품인 '명월초' 출하가 한창이다.

명월초 생산 주인공은 학산면 도덕리 박종길(64)·김금순(59) 씨 부부.

개나리과의 하나로 명월초의 주 서식지는 아열대 기후의 동남아시아 고산지역이며, 인도네시아에서는 삼붕냐와라고 불리며, '신이 내린 장수채소'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는 명월초, 한국에서는 당뇨초, 일본에서는 구명초라고 불리며, 햇볕 아래에 놓이면 잎이 축 처지고 추위에 약한 특징이 있다.

명월초는 황산화물질과 게르마늄 등 26종의 천연 유기질 성분이 포함돼 있어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신장염 등 심혈관 및 신장질환에 효과가 좋으며, 해독 작용도 뛰어나 숙취해소에 탁월하고 아삭거리는 식감과 향이 뛰어나 쌈채소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들 부부는 2009년 귀농해 3년 전 삼중 비닐하우스 2동(1천320㎡)에 명월초를 심어 매년 평균 2t을 생산하며, 오는 10월까지 매주 1~2회 수확한다.

이들 부부는 블로그, 카페, 카카오톡 등 SNS를 통해 주문을 받아 전량 판매하고 있으며, 지난해 경우 3천만원의 조수입을 올렸다.

도덕리 마을은 표고버섯 주산지로 폐목을 이용해 장수풍뎅이를 사육하는 농가도 많다.

이 부부는 장수풍뎅이 배설물로 퇴비를 만들어 사용할 뿐만 아니라 발효 깻묵, 일라이트 가루를 섞어 퇴비로 사용하는 등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해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명월초보다 맛과 향이 우수하다.

특히 농가들은 자연에서 자라는 명월초와 비슷한 조건을 갖추기 위해 볏짚을 덮어 주는 기술도 개발하고, 문제가 됐던 연작 장해를 미생물과발효퇴비를 이용하는 등 친환경농법을 실천해 무농약 인증도 받았다.

김 씨는 "명월초는 독특한 향을 지니고 있어 어느 음식과도 잘 어울려 인기가 많다"며 "내년에는 명월초 외 적근대, 케일 등 여러 종류의 쌈채소도 소비자들에게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영동 / 손근방기자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이재영 증평군수 "새로운 100년 기반 다진 해"

[충북일보] 증평군이 군 개청 20주년을 맞았다. 증평군은 이재영 군수가 지난해 7월1일 취임후 다양한 분야에서 괄목한 성과를 올리고 있다. 주민과의 대화를 통한 소통이 군정발전에 큰 도움을 주면서 군민들이 이 군수의 행보에 공감을 하고 있다. 지난 1년간의 성과에 대해 알아본다. ◇군수 취임 이후 1년을 맞이한 소감은 올해는 군 개청 20주년이 되는 해로 그 의미가 크다. 스무 살 청년 증평은 지난 20년 동안 보여준 눈부신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 100년을 위해 더 강하고 큰 증평을 만들고자 열심히 뛰고 있다. '군민 중심 새로운 미래 증평'을 군정 비전으로 정하고 1년 동안 증평 지역의 안녕과 발전을 위해 군수로서의 소명을 다해 왔다. 주민과 소통하고 주민이 행복한 삶의 터전을 만드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증평만의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다. 그 결과 △ 국가균형발전 우수사례 전국 최초 8회 최다 수상 △지방자치단체 정부혁신평가 5년 연속 우수기관 선정 △전국 군 단위 유일 재난관리평가 1위에 선정되는 등 활기가 넘치고 밝은 미래가 보인다는 평을 듣고 있습니다. 이는 모두 주민들이 보내주신 무한한 신뢰와 지지 덕분이다. 앞으로도 주민과 소통하고 협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