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1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괴산 특산품 대학찰옥수수 인기
252개 농가 21만6천 포대 생산
장연면 오가리 주민들이 출하할 옥수수를 다듬고 있다.
[충북일보] 충북지역에서 해마다 학교 폭력이 늘어나는 것에 비해 학교전담경찰관(SPO)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전담경찰관은 학교 폭력·청소년 선도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경찰관으로 지난 2012년에 도입됐다. 충북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기준 도내 학교전담경찰관은 37명이다. 휴직·파견 등을 제외하면 실제 근무 인원은 35명이다. 학교전담경찰관은 경찰 인력난 등 2016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해 △2017·8년 44명 △2019년 42명 △2020년 39명으로 감소하고 있다. 현재 도내 초·중·고 학교는 487개로 학교전담경찰관 전체 인원인 37명이 담당해야 하는 학교는 1명당 약 13.1개 학교를 담당하고 있다. 학생수로 따지면 학교전담경찰관 1명이 약 4천500여명을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코로나19 완화로 대면 수업이 이뤄지면서 학교 폭력도 큰 폭으로 늘어 업무는 더욱 가중되고 있다. 도내 학교 폭력 건수는 △2020년 360건 △2021년 388건 △2022년 448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 이전인 2018년 329건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현 도내에 배치
[충북일보] 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까지 충북 청주시 소재 충북대학교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주관한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렸다. 그러자 지역 곳곳에서 '무슨 일이 있느냐'는 문의전화가 빗발쳤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는 이날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열린 배경에 대해 "기존에 국가재정전략회의는 국무총리와 장·차관 등 국무위원 중심으로 열렸다"며 "이번에는 다양한 민간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정책의 현실 적합성을 높이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해도 왜 굳이 충북대에서 이번 회의가 열렸어야 했는지 궁금증은 해소되기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또 하나의 특징은 회의 장소가 충북대라는 점"이라며 "기존에는 주로 세종청사나 서울청사에서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었는데, 충북대를 이번에 택한 이유는 지방 발전, 지역 인재 육성을 포함한 지방시대와 연계해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고자 하는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 또한 대통령의 의지라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일반 시민들의 궁금증을 해소시키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MZ세대인 충북대 학생들과 오찬 간담회를 열어 청년일자리, 지역인재 육성 등의 고민과
[충북일보] 정부가 15일 발표한 '국가첨단산업 육성 전략'을 놓고 비수도권 홀대론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반도체 등 국가첨단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앞두고 정치권이 수도권 규제를 완화하는 법 개정에 나서며 비수도권 우려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수도권에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을 발표한 것은 '밀어주기'가 아니냐는 것이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하는 '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발표된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는 경기 용인 일대 710만㎡에 조성하는 국가산업단지로 민간 투자액만 300조 원에 달한다. 판교~기흥~화성~이천~용인~평택을 잇는 기존 반도체 산업 벨트를 활용해 150개 이상의 국내·외 소재·부품·장비 기업과 해외 R&D 기업을 유치하고 판교 팹리스와 연계해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로 육성하는 게 목표다. 대통령실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치열한 글로벌 반도체 투자유치 전쟁 속에서 국가 경제와 국민의 미래 먹거리를 살리기 위한 윤 대통령의 결단에 따른 것"이라며 "정부는 적극적인 민관협력의 결과로 국내에 대규모 투자가 결정됨으로써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초석이 마련될 것"이라고 첨단
[충북일보] 건물에 발생하는 화재는 곧 인명 피해로 이어진다. 최근 대전 한국타이어 공장의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대량의 타이어가 타며 가연 물질이 나온 것도 화재 진압 어려움의 원인이었지만 공장의 조립식 샌드위치 패널 구조도 한몫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대형 화재 발생 시 피해를 키우는 요인으로 꼽혀 온 가연성 건축자재 사용 제한 건축법 개정안이 지난해 2월 11일 본격 시행됐다. 개정안에 따라 건축물 내·외부의 마감재와 단열재, 복합자재 심재 모두 화재 안전성 확보가 의무화됐다. 강화된 법 개정으로 준불연·불연 건축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충북도내 선도적인 제품 개발로 앞서나가는 기업이 있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에 위치한 ㈜SSG에너텍은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고효율의 건축자재를 개발·제조하는 종합건축자재 전문기업이다. 특히 주력 제품인 'IP패널(Insulation Panel: 동적내진설계용 준불연단열일체형 패널)'은 마감재와 단열재를 일체화한 외단열 마감 패널이다. 이을성(59) SSG에너텍 대표는 "단열·내진·준불연 세 가지 성능을 충족하면서 일체화된 단열·마감재는 SSG에너텍이 유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