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단양팔경 '한국관광 100선' 선정

군, 민선6기 '찾고 싶은 문화관광' 알찬 결실

  • 웹출고시간2015.04.05 14:30:26
  • 최종수정2015.04.05 14:30:26

구담봉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한국인이 좋아하고, 꼭 가봐야 할 국내 대표관광지'로 선정해 발표한 '한국관광 100선'에 단양팔경이 포함됐다.

단양군은 민선 6기 출범 후 최우선 과제를 '찾고 싶은 문화관광' 산업 육성으로 정하고 체류형 관광지로 확고하게 자리 잡도록 관광 산업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꾸준히 노력했다.

이에 대한 결실로 지난 3월 2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조선일보가 후원한 2015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힐빙 관광도시 부문 대상' 수상에 이어 한국관광 100선에 단양팔경이 선정되는 쾌거를 거뒀다.

단양팔경 중 제1경으로 손꼽히는 도담삼봉은 물길과 어우려져 한 여름에는 푸르름의 청량함을 겨울엔 은빛 자태까지 사계절 내내 때로는 어느 묵객의 그림이 되어주기도 하며, 때로는 마음의 여유를 잃은 사람들에게는 아름다움 쉼표로 간직될 만큼 황홀한 풍광을 가지고 있다.

제2경 석문은 도담삼봉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자연의 솜씨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의 조형미와 울창한 수풀로 한껏 치장하고 멋들어진 풍경 속으로 녹아들어 있다. 그리고 그 속에 동그랗게 열린 또 다른 풍경인 탁 트인 남한강의 신비로우면서도 색다른 매력을 만날 수 있다.

또한 충주호의 풍광에 빠진 거북 한마리 제3경 구담봉, 희고 푸른 빛을 띤 바위들이 힘차게 솟아 마치 대나무 싹과 같이 보이는 제4경 옥순봉, 푸르고 영롱한 옥빛 여울이 수백 척의 기암절벽을 안고 휘도는 수려한 절경을 간직하고 있는 제5경 사인암, 삼선구곡(三仙九曲)이라고 불리는 선암계곡 중에서도 유독 돋보이는 아름다움을 간직한 바위들이 있는데 제6경 제7경 제8경인 하선암, 중선암 그리고 상선암 등이다.

단양팔경은 인간의 솜씨로는 따라갈 수 없는 자연이 빚어낸 최고의 아름다움 경지를 뽐내며 그 안에서 서리서리 여덟 가지의 특별하면서도 재미있는 이야기가 살아 숨쉬고 있다.

군은 최근의 관광 트렌드를 반영해 도담삼봉 명소화, 만천하스카이워크, 선암골 생태유람길, 만학천봉 전망대 조성사업 등 단양팔경과 연계된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박상용 단양군 문화관광과장은 "단양은 예로부터 퇴계 이황·금계 황준량·수암 권상하 등 선비들이 마음의 고향으로 인식했고 김홍도·최북 등의 화가는 단양의 팔경을 화폭에 담고자 했다"며 "시인과 묵객들은 저마다의 시와 산문으로 팔경의 경치를 노래하며 풍류 명현의 사랑을 한 몸에 받아왔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한국 관광 100선을 계기로 홍보마케팅 및 관광객 수용태세를 강화해 최적의 체류형 휴양문화관광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단양 / 이형수기자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 "재정 자율화 최우선 과제"

[충북일보]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은 "도체육회의 자립을 위해서는 재정자율화가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윤 회장은 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3년 간 민선 초대 도체육회장을 지내며 느낀 가장 시급한 일로 '재정자율화'를 꼽았다. "지난 2019년 민선 체육회장시대가 열렸음에도 그동안에는 각 사업마다 충북지사나 충북도에 예산 배정을 사정해야하는 상황이 이어져왔다"는 것이 윤 회장은 설명이다. 윤 회장이 '재정자율화'를 주창하는 이유는 충북지역 각 경기선수단의 경기력 하락을 우려해서다. 도체육회가 자체적으로 중장기 사업을 계획하고 예산을 집행할 수 없다보니 단순 행사성 예산만 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선수단을 새로 창단한다거나 유망선수 육성을 위한 인프라 마련 등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달 울산에서 열린 103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충북은 종합순위 6위를 목표로 했지만 대구에게 자리를 내주며 7위에 그쳤다. 이같은 배경에는 체육회의 예산차이와 선수풀의 부족 등이 주요했다는 것이 윤 회장의 시각이다. 현재 충북도체육회에 한 해에 지원되는 예산은 110억 원으로, 올해 초 기준 전국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