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04.01 10:07:59
  • 최종수정2015.04.01 10:07:59

괴산군농업기술센터(소장 윤홍규)는 고품질 벼 재배시 가장 문제가 되는 벼 키다리방제를 위해 효과적인 볍씨소독 방법을 보급하기 위해 지난 31일 3층 농심관에서 벼 키다리병 방제를 위한 볍씨 소독 연시회를 개최 했다.

이번 연시회에서는 센터에서 약 한 달 동안 10가지 시험구로 군내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는 추청벼와 호품벼 2종에 가장 효과적인 벼 키다리방제 방법이 소개됐다.

군 농업기술센터는 친환경적인 볍씨소독방법을 확산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모두 60대의 온탕소독기를 보급하고 있으며, 온탕소독기 사용법을 시연하고 농가에서 온탕소독기를 이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등을 교육했다.

벼 키다리병은 벼농사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곰팡이균인 FUSARIUM(붉은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해로, 병균에 감염되면 못자리에서부터 벼 키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며 한번 감염된 종자는 벼이삭이 생긴 이후에도 벼 알이 제대로 여물지 않아 벼농사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군 농업기술센터 담당자는 연시회 참가자들에게 "볍씨종자를 온탕소독을 할 경우에는 염수선 후 물에서 건진 종자는 10분 이내로 온탕소독을 하거나 충분히 건조시켜 온탕소독을 해 주고, 약제처리를 할 경우에는 30℃에서 48시간 종자를 담궈 약제침투가 잘되도록 해 줄 것"을 당부했다.

괴산 / 김성훈기자 hunijm@hanmail.net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기업 돋보기 1. 이을성 SSG에너텍 대표

[충북일보] 건물에 발생하는 화재는 곧 인명 피해로 이어진다. 최근 대전 한국타이어 공장의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대량의 타이어가 타며 가연 물질이 나온 것도 화재 진압 어려움의 원인이었지만 공장의 조립식 샌드위치 패널 구조도 한몫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대형 화재 발생 시 피해를 키우는 요인으로 꼽혀 온 가연성 건축자재 사용 제한 건축법 개정안이 지난해 2월 11일 본격 시행됐다. 개정안에 따라 건축물 내·외부의 마감재와 단열재, 복합자재 심재 모두 화재 안전성 확보가 의무화됐다. 강화된 법 개정으로 준불연·불연 건축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충북도내 선도적인 제품 개발로 앞서나가는 기업이 있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에 위치한 ㈜SSG에너텍은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고효율의 건축자재를 개발·제조하는 종합건축자재 전문기업이다. 특히 주력 제품인 'IP패널(Insulation Panel: 동적내진설계용 준불연단열일체형 패널)'은 마감재와 단열재를 일체화한 외단열 마감 패널이다. 이을성(59) SSG에너텍 대표는 "단열·내진·준불연 세 가지 성능을 충족하면서 일체화된 단열·마감재는 SSG에너텍이 유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