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약수터 가는 길은 마냥 즐겁다.

길이 시골길 같고 산과 들에는 푸른 나무와 야생화들을 만날 수 있다.

여름철에는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주고 수많은 매미들이 울어대는 길가의 수십 년 넘게 자란 포플러 나무도 푸름을 자랑하고 있다.

그런데 언제인가 길옆 포플러 나무 밑 부분에 두어 뼘 정도의 껍질을 둥그렇게 베껴 내고 그곳에 제초제 약을 주사한 모양이다.

두꺼운 껍질이 벗겨져 하얀 나무 속살이 훤히 들여다보인다.

주변에 남의 땅에 밭작물을 경작하는 사람들이 그늘이 진다해서 나무를 고사 시켜 베어 버리려 하는 심보로 그런 행동을 하는 모양이다.

또 보리밭 옆에 수십 년 된 미루나무와 고추밭 옆에 있는 오래된 벚나무에도 독한 제초제를 뿌렸는지 나무가 말라 죽어 있으며 살아 있는 것도 나무 밑기둥이 검게 물들어 가고 있다.

키 큰 나무로 인해 햇빛을 못 받고 그늘이 지면 가지치기를 하든지 곡식을 덜 심으면 될 터인데 우선 욕심과 자기 이기주의로 귀한 나무들을 고사 시키고 있어 보는 이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몇 년 전 논 옆에 있는 키 큰 뽕나무와 밭 옆 소나무들을 도벌을 하였기에 관할 시청에 신고하였더니 "나무 그늘로 농작물에 피해가 있어 그런 모양이다. 가지치기 정도는 무방하다"

는 통보를 받은 적이 있다.

현장을 답사하고 확인 하거나 어떤 행정적인 조치도 한 적이 없다.

오랜 공직경험과 인생 연륜을 통해 얻은 지식과 경험으로 건의하고 시정을 요구해도 법이 어떻고 규정이 어떻고 하면서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공직자들의 사명감 부족과 공권력을 제대로 발휘 하지 못함을 퍽 안타깝게 생각한다.

무단으로 나무를 도벌하거나 멀쩡한 수십 년 된 나무에 제초제를 살포하고 제초제 주사약을 나무에 투입하는 등 못된 행위를 하는 사람들을 적발해 원상복구를 시키고 산림법에 의거 의법 처리해야 할 것이며 정부는 산림보호 차원의 세심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최연성 제천시(칼럼리스트)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 "재정 자율화 최우선 과제"

[충북일보]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은 "도체육회의 자립을 위해서는 재정자율화가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윤 회장은 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3년 간 민선 초대 도체육회장을 지내며 느낀 가장 시급한 일로 '재정자율화'를 꼽았다. "지난 2019년 민선 체육회장시대가 열렸음에도 그동안에는 각 사업마다 충북지사나 충북도에 예산 배정을 사정해야하는 상황이 이어져왔다"는 것이 윤 회장은 설명이다. 윤 회장이 '재정자율화'를 주창하는 이유는 충북지역 각 경기선수단의 경기력 하락을 우려해서다. 도체육회가 자체적으로 중장기 사업을 계획하고 예산을 집행할 수 없다보니 단순 행사성 예산만 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선수단을 새로 창단한다거나 유망선수 육성을 위한 인프라 마련 등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달 울산에서 열린 103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충북은 종합순위 6위를 목표로 했지만 대구에게 자리를 내주며 7위에 그쳤다. 이같은 배경에는 체육회의 예산차이와 선수풀의 부족 등이 주요했다는 것이 윤 회장의 시각이다. 현재 충북도체육회에 한 해에 지원되는 예산은 110억 원으로, 올해 초 기준 전국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