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청주시, 고품질 생산기반 조성·명품 브랜드 육성

"고급화로 쌀 시장 개방 파고 넘는다"

  • 웹출고시간2014.07.25 11:53:31
  • 최종수정2014.07.25 11:53:31
정부가 내년부터 쌀 시장을 전면 개방하기로 했다.

청주시는 지역 농가에서 생산하는 쌀의 고급화를 통해 쌀 시장 개방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청주시는 먼저 고품질 쌀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 조성과 농가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올해 농가의 경영비 절감을 위해 못자리뱅크 9곳, 벼 육묘장 85동, 웰빙특수미 단지 19곳 등을 조성하고 있으며벼 병충해 방제 활동을 9천438㏊에 걸쳐 펼치고 있다.

들녘별 경영체 1곳(내수농협미곡종합처리장)을 육성하고 우량 종자대 502t, 영농자재 5종, 토양개량제인 규산 6천196t, 유기질비료 2만6340t 등을 농가에 지원할 예정이다.

농가 소득안정과 쌀 생산 농가의 소득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논농업직불금을 1만37㏊에 79억3천700만원을 지급했고 경영안정자금을 1만2천75㏊, 6억300만원 지급했다.

농작업의 효율성 제고와 일손부족을 해결하고 생산비 절감을 통한 소득증대를 위하여 볍씨 온탕소독기 332대, 공동광역방제기 5대, 원적외선 곡물건조기 83대를 농가에 지원한다.

GAP 시설보완 및 현대화 사업으로 내수농협, 오송농협에 3억3천800만원을 지원했고 고품질쌀 브랜드 육성 사업으로 청원통합 RPC, 광복농산 RPC에 1억원을 지원하는 등 쌀 산업 경쟁력 제고와 품질 향상을 위한 사업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시는 청원생명쌀, 오창 유기농쌀 등 명품 브랜드 육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009년 만들어진 청원생명쌀 브랜드는 농업인과 농협, 행정이 삼위일체가 되어 노력한 결과 러브미 7회 수상과 로하스 7년 연속 인증을 받으면서 명품 쌀로 성장했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농·특산물로 자리 잡았다.

시는 앞으로도 연간 10억여원을 투입해 청원생명쌀 품질 향상을 위한 생산자재 공급, 성분 및 품질검사, 생산단체 시설 점검·지원 등 지속적인 명품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오창 지역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유기농 쌀은 전량 학교 급식으로 납품하고 있어 농업인에게는 소득을, 자라나는 청소년에게는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면서 전국의 학교급식 모델이 되고 있다.

통합으로 청주시 지역까지 친환경 학교급식이 확산되면 당장은 1천여t의 유기농 쌀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 청원생명 쌀을 왕우렁이 농법으로 재배하고 있기 때문에 무농약 인증이 가능해 청주 지역 학교 급식뿐만 아니라 수도권 학교 급식까지 시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시책을 발굴하여 우리 쌀의 경쟁력을 키우고, 농가 소득을 증대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 안순자기자 asj1322@hanmail.net
배너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재황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장 인터뷰

[충북일보]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이 올해 창립 10주년을 맞았다.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의 메카인 충북 오송에 둥지를 튼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은 지난 10년간 산업단지 기업지원과 R&D, 인력 양성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해 쉼없이 달려왔다. 지금까지의 성과를 토대로 제2의 도약을 앞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이 구상하는 미래를 정재황(54) 원장을 통해 들어봤다. 지난 2월 취임한 정 원장은 충북대 수의학 석사와 박사 출신으로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충북도립대 기획협력처장을 역임했고, 현재 바이오국제협력연구소장, 충북도립대 바이오생명의약과 교수로 재직하는 등 충북의 대표적인 바이오 분야 전문가다. -먼저 바이오융합원에 대한 소개와 함께 창립 10주년 소감을 말씀해 달라.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이하 바이오융합원)은 산업단지 기업지원과 R&D, 인력양성이융합된 산학협력 수행을 위해 2012년 6월에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바이오헬스 분야 산·학·연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창업 생태계 조성과 기업성장 지원, 현장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등의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그동안 충북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부 재정지원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