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철저한 종자소독으로 고품질 쌀 생산

충주농기센터, 볍씨 소독요령 홍보

  • 웹출고시간2013.04.08 11:20:37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충주시농업기술센터(소장 이성희)가 본격적인 농사철을 앞두고 볍씨 종자에서 발생·전염되는 병을 미리 막을 수 있는 볍씨 소독요령을 소개했다.

최근 기후변화로 벼 출수기에 고온다습한 날씨가 계속됨에 따라 키다리병, 세균벼알마름병 등과 같은 종자전염병이 늘고 있고, 벼 농사에서 볍씨 소독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못자리에서 뿐만 아니라 본 논에 이앙한 다음에도 여러 가지 병을 발생시켜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센터는 이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자가채종 종자의 경우 소금물가리기(염수선) 처리를 반드시 준수하고 물 20ℓ에 프로클로라즈유제와 플루디옥소닐 종자처리액상수화제를 각각 10㎖씩 넣어 희석한 용액에 볍씨 10㎏을 온도 30℃에 맞춰 48시간 동안 담가둘 것을 권했다.

친환경 벼 재배농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온탕침지소독(친환경소독) 경우에는 60℃의 물에 벼 종자를 10분간 담가두면 약제소독과 비슷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운광벼', '일미벼', '삼광벼' 등 온탕침지에 민감한 품종은 처리조건을 지키지 않으면 발아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정부 보급종 볍씨는 소독약제를 묻혀 공급하므로 30℃의 물에 48시간 동안 담가 소독하면 된다.

정부 보급종을 완전히 소독이 된 것으로 잘못 알고 물로 씻어낸 후 물속에 담그거나 흐르는 물에 포대째 담그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소독약제가 씻겨나가 소독 효과가 전혀 없으며, 살균제를 추가 사용할 경우 발아율이 떨어지거나 초기에 모가 잘 자라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볍씨를 소독할 때는 소독 순서를 반드시 지키고, 소독약이 효과적으로 볍씨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볍씨와 물의 양 그리고 약제희석 배수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

기술센터 관계자는 "발아기를 사용할 때 볍씨를 너무 많이 쌓으면 약액이 고루 묻지 않아 안쪽에 있는 종자는 소독이 되지 않고, 오히려 키다리병 병원균이 잘 자라는 조건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충주 / 정소연기자 jso2@hanmail.net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조길형 충주시장 "부담 없는 시민골프장 추진"

[충북일보] 조길형 충주시장이 공익적 차원에서 시민골프장 조성 계획을 세우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비싸진 골프장 요금과 관련해 시민들이 골프를 부담 없이 즐길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인데, 갑론을박이 뜨겁다. 자치단체장으로서 상당히 부담스러울 수 있는 시민골프장 건설 계획을 어떤 계기에서 하게됐는지, 앞으로의 추진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여부에 대해 들어보았다. ◇시민골프장을 구상하게 된 계기는. "충주의 창동 시유지와 수안보 옛 스키장 자리에 민간에서 골프장 사업을 해보겠다고 제안이 여럿 들어왔다. '시유지는 소유권 이전', '스키장은 행정적 문제 해소'를 조건으로 걸었는데, 여러 방향으로 고심한 결과 민간에게 넘기기보다 시에서 직접 골프장을 만들어서 시민에게 혜택을 줘야겠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충주에 골프장 많음에도 정작 시민들은 이용할 수가 없는 상황이 안타까웠다." ◇시민골프장 추진 계획은. "아직 많이 진행되지는 않았지만, 오랜 기간의 노력을 들여 전체 과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볼 수 있는 시민의 공감을 확보했다. 골프장의 필요성과 대상지에 대해 시민들이 고개를 끄덕여 주셨다. 이제는 사업의 실현가능성 여부를 연구하는 용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