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주 젊은 귀농인들의 성공스토리 화제

연화순씨와 조운영씨 귀농 성공사례 관심

  • 웹출고시간2012.09.27 15:08:46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연화순·조운영 부부

귀농에 대한 관심이 점점 뜨거워지는 요즘 충주에 정착한 젊은 귀농인들의 성공 스토리가 귀농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깊은 감동과 귀감이 되고 있다.

지난 2008년 귀농한 충주시 엄정면의 연화순(39)씨는 농장명을 '시골내음'이라 정하고 누에·오디용 뽕나무, 옥수수, 복숭아, 고구마 등의 작목을 재배하면서 농업에 입문했다.

봄에는 고구마를 육묘하고, 초여름에는 뽕나무에서 소득을 창출하며, 여름에는 옥수수와 복숭아, 가을철에는 고구마 수확작업을 하는 등 노동력을 시기별로 잘 분산시켜 효율적인 영농을 하고 있다.

연씨의 영농에는 남들과 다른 무엇이 있다. 뽕잎당뇨쿠키, 마시는 발효뽕잎, 고구마 쥬스 등 신제품을 개발하려는 노력과 독소제거를 위해 씨앗을 뺀 복숭아즙 제조기술 특허를 받고 포장재를 고급화 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또한 지난해 충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 추진한 농업경영대학을 졸업하고 강소농 관련 각종 워크샵 및 교육 참석, 대학원 농학박사학위 취득 등 그의 농업에 대한 열정은 끝이 없는 듯하다.

처음 귀농 당시 연매출이 1천~2천만원에 불과하던 연씨는 지난해 매출액 1억원을 돌파했으며 올해 2억원을 예상하는 등 앞으로 매출액은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또 2000년 초까지 여행사 관련 일을 하다가 느타리버섯 작목으로 귀농해 신니면 송암리에서 '행복한 버섯' 농장을 운영하는 조운영(48)씨도 성공스토리를 쓰고 있다.

조씨는 귀농 당시부터 충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 컨설팅을 받아 일반 균상재배가 아닌 봉지재배 기술과 시설을 갖추고 느타리버섯 재배는 물론,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노루궁뎅이 버섯을 재배하며 국내에서 개발된 새로운 품종들을 먼저 시험 재배하는 등 우수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노력으로 최근 조씨는 약리효능이 뛰어난 약초를 첨가한 배지를 활용해 체질에 맞는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된 기능성 버섯 생산기술을 개발했다.

조씨가 개발한 기술은 맞춤의학에 관심이 높아지는 요즘 병을 치료할 때 체질에 따라 처방하듯이, 농산물도 자신의 체질을 알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맞춤형 농산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향후 농가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렇게 젊은 나이에 도시생활을 접고 시골로 내려와서 성공적으로 정착한 이들의 성공스토리는 귀농 초보자나 관심 있는 도시민들에게 귀농에 대한 자신감과 희망을 불어넣어 주는 활력소가 되고 있다.

한편 충주시는 지난해부터 귀농귀촌의 길잡이 역할을 위해 귀농귀촌 교육 프로그램과 귀농상담창구를 운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귀농귀촌분야에 많은 힘을 기울여 안정적인 귀농을 유도할 계획이다.

충주 / 김주철기자 kimjc@cb21.net
배너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