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2.08.08 09:54:51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축구대표팀이 준결승에서 브라질에 패배해 동메달결정전에 나서게 된 가운데 한국은 금메달 1개를 추가했다.

홍명보(43) 감독이 이끄는 올림픽축구대표팀은 8일 오전 3시45분(한국시간) 맨체스터의 올드트래포드에서 열린 '영원한 우승후보' 브라질과의 런던올림픽 남자축구 준결승에서 높은 벽을 절감하며 0-3으로 완패했다.

개최국 영국을 제압하며 사상 처음으로 올림픽 4강 신화를 쓴 한국은 결승 진출에 실패해 멕시코에 진 일본과 동메달결정전인 3·4위전을 치르게 됐다. 11일 오전 3시45분 카디프의 밀레니엄스타디움에서 열린다.

1964년 도쿄올림픽에서 0-4로 진 후, 48년 만에 설욕을 노렸지만 브라질의 벽은 높았다. 올림픽에서 두 번 만나 모두 졌다.

브라질은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24년 만에 결승 진출에 성공, 첫 올림픽 금메달에 도전한다. 상대는 멕시코로 11일 오후 11시에 런던 웸블리스타디움에서 벌어진다.

한국은 초반부터 기죽지 않고 공격적인 축구로 맞서 수 차례 찬스를 잡았지만 골로 연결하지 못하면서 기선 제압에 실패했다. 반면 브라질은 서두르지 않고 침착하게 페이스를 조절하면서 노련하게 골을 만들었다. 내리 3골이 터져 후반 중반 사실상 승부가 갈렸다.

브라질의 호물로(바스코다가마)가 1골, 레안드로 다미앙(인터나시오날)이 2골을 기록했다.

홍 감독은 조별리그 3경기와 8강에서 선발로 최전방에 세웠던 박주영(아스날)을 대신해 김현성(서울)을 선발로 내보내며 변칙적인 기용을 보였지만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영국과의 8강전에서 각각 좌측 견관절 염좌 타박상과 우측 요골 골절 부상을 입은 골키퍼 정성룡(수원)과 수비수 김창수(부산)의 공백도 드러났다. 승부차기 승리의 주역 이범영(부산)과 오재석(강원)이 이들의 자리를 메웠지만 아쉬움이 남았다.

한국 레슬링의 기대주 김현우(24·삼성생명)는 2004년 아테네올림픽 이후 8년 만에 한국 레슬링에 금메달을 안겼다.

김현우는 런던의 엑셀 노스 아레나2에서 열린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66kg급 결승에서 헝가리의 타마스 로린츠(26)에게 2-0으로 완승을 거뒀다.

김현우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금맥이 끊겼던 한국 레슬링에 8년 만에 금메달을 안겼다.

한국 레슬링은 1976년 몬트리올올림픽에서 자유형 62kg급의 양정모가 금메달을 따낸 이후 출전하는 올림픽마다 금메달을 따냈지만 2008베이징올림픽에서 '노골드'에 그치는 수모를 당했다.

하지만 김현우가 2004년 아테네올림픽 그레코로만형 60kg급에서 정상에 오른 정지현(29·삼성생명) 이후 8년 만에 금메달을 따내 한국 레슬링은 끊어졌던 금맥을 다시 이을 수 있게 됐다.

김현우의 금메달은 이번 올림픽 한국 레슬링의 첫 금메달이자 한국 선수단의 12번째 금메달이다.

지난해 12월 런던에서 벌어진 프레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내 기대를 높였던 김현우는 결승에서 압도적인 경기를 펼친 끝에 금메달을 품에 안았다.

한국 여자 핸드볼대표팀은 런던 코퍼 복스에서 열린 러시아와의 여자 핸드볼 8강전에서 24-23으로 진땀승을 거두며 준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이로써 여자 핸드볼은 올림픽 8회 연속 준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역대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따낸 여자 핸드볼은 사상 7번째 메달을 향해 순항했다. 여자 핸드볼은 2008베이징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땄다. 금메달을 딴 것은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이 마지막이다.

조별리그에서 3승1패1무를 기록하고 B조 2위에 올라 8강 무대를 밟은 한국은 러시아를 꺾으면서 4강 진출에 성공했다.

권한나가 양 팀을 통틀어 가장 많은 6점을 몰아치며 한국의 승리에 앞장섰다. 우선희와 유은희가 나란히 5점을 넣으며 공격을 도왔다.

한국은 노르웨이와 준결승을 치른다.

금메달 1개를 추가한 한국은 금메달 12개, 은메달 5개, 동메달 6개로 종합 4위 자리를 지켰다.

이날 금메달 3개, 은메달 2개, 동메달 4개를 수확한 중국은 금메달 34개, 은메달 21개, 동메달 18개로 종합 선두를 달렸다. 전날 2위였던 미국은 이날 금메달 1개, 은메달 4개, 동메달 2개를 추가해 금메달 30개, 은메달 19개, 동메달 21개로 2위를 유지했다.

금메달 4개와 은, 동메달을 각각 2개씩 더한 개최국 영국은 금메달 22개, 은메달 13개, 동메달 13개로 3위 자리를 지켰다.

대회 12일째인 8일에는 단체전 결승 진출에 성공한 남자 탁구대표팀이 만리장성을 무너뜨리기 위해 나선다. 남자 탁구대표팀은 8일 오후 11시30분 중국과 단체전 결승을 치른다.

8일부터는 전 종목 금메달 획득을 목표로 내건 한국 태권도대표팀이 금빛 발차기를 선보인다.

첫 번째 주자는 남자 58kg급의 이대훈(20·용인대)이다. '훈남 태권청년' 이대훈은 8일 오후 7시15분 카라켓 펜-엑(22·태국)과 16강을 치른다.

기사제공:뉴시스(http://www.newsis.com)
배너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재황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장 인터뷰

[충북일보]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이 올해 창립 10주년을 맞았다.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의 메카인 충북 오송에 둥지를 튼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은 지난 10년간 산업단지 기업지원과 R&D, 인력 양성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해 쉼없이 달려왔다. 지금까지의 성과를 토대로 제2의 도약을 앞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이 구상하는 미래를 정재황(54) 원장을 통해 들어봤다. 지난 2월 취임한 정 원장은 충북대 수의학 석사와 박사 출신으로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충북도립대 기획협력처장을 역임했고, 현재 바이오국제협력연구소장, 충북도립대 바이오생명의약과 교수로 재직하는 등 충북의 대표적인 바이오 분야 전문가다. -먼저 바이오융합원에 대한 소개와 함께 창립 10주년 소감을 말씀해 달라.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이하 바이오융합원)은 산업단지 기업지원과 R&D, 인력양성이융합된 산학협력 수행을 위해 2012년 6월에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바이오헬스 분야 산·학·연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창업 생태계 조성과 기업성장 지원, 현장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등의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그동안 충북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부 재정지원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