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한국 금빛 향연… 통산 100번째 금메달

펜싱 男 사브르 단체전·오진혁 양궁 男 개인전 사상 첫 금메달

  • 웹출고시간2012.08.04 10:58:21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3일(현지시각) 오후 영국 엑셀 런던 사우스 아레나에서 열린 남자 단체 펜싱 사브르 결승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 승리해 금메달을 목에 건 한국 선수들이 메달을 깨물어보고 있다.

2012 런던올림픽에 출전 중인 한국 선수단이 양궁과 펜싱에서 잇따라 금메달을 따내며 역대 100번째 올림픽 금메달을 따내자 시민들과 누리꾼들은 기쁜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한국 남자 양궁 대표팀의 '맏형' 오진혁은 3일(이상 한국시간) 오후 영국 런던 로즈 크리켓 그라운드에서 벌어진 양궁 남자 개인전 결승에서 일본의 후루카와 다카하루(28)를 세트스코어 7-1로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어 구본길(23), 김정환(29), 오은석(29·이상 국민체육진흥공단), 원우영(30·서울메트로)으로 구성된 남자 사브르대표팀은 4일 오전 런던 엑셀 사우스 아레나에서 열린 펜싱 남자 사브르 단체전 결승에서 루마니아를 45-26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직장인 김유원(33·여)씨는 "금메달을 추가한 것도 기쁘지만 양궁 결승에서 일본 선수를 이겨서 더 기쁘다"며 "각국의 실력이 평준화됐는데도 잘 싸워준 오진혁 선수가 너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가정주부 서원희(36·여)씨는 "남자 사브르 단체전은 금메달을 예상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는데 우리 선수들이 기적같은 일을 만들었다"며 "펜싱 대표팀에 관심을 갖지 않았었는데 선수들이 외모도 잘생기고 너무 멋지다"고 환호했다.

대학생 이지호(28)씨는 "이번 올림픽에서 오심이 너무 많이 나와 속상했다"며 "심판 판정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양궁 종목에서 설욕한 것 같아 너무 통쾌하다"고 밝혔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인터넷 공간도 누리꾼들의 환호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트위터 아이디 oi***는 ", 대한민국이 서양의 활과 칼을 모두 석권해버렸다. 정말 대단하다. 자랑스럽다."고 응원을 보냈다.

아이디 happy*******는 "중국, 미국은 인구도 많고 땅도 큰 나라여서 이게(성적이) 당연하지만, 우리나라는 인구도 훨씬 적고 땅도 작은데 이만하면 정말 대단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선수단이 9개의 금메달로 3위 자리를 굳게 지키자 시민들은 조심스레 역대 최고 성적을 기대하기도 했다.

한국은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로 역대 최고 성적인 4위를 기록했고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는 올림픽 출전 사상 가장 많은 13개의 금메달을 따내 7위를 기록했다.

직장인 송진욱(45)씨는 "메달을 예상하지 못했던 종목에서 금메달이 많이 나와 3위에 오를 수도 있을 것 같다"며 "앞으로 선수들이 좋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자신감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트위터 아이디 auto****는 "런던올림픽에서 우리가 전체 3위로 마무리 짓는다면 대한민국의 위상과 저력을 세계인들에게 각인시켜 주는 것"이라며 "선수들이 세계인들에게 우리의 힘을 보여 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기사제공:뉴시스(http://www.newsis.com)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