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08.02.03 14:13:47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2008년 새해에는 우리 사회 전반이 선진국가의 대열에 설 수 있는 그런 노력들을 함께 했으면 좋겠다.

한 예로 어떤 선진국가 한 학교에서 실제 있었던 일이다.

장애를 가진 한 학생이 일반학교에 입학해 수업을 받을 때 미처 수업의 진행속도에 따르지 못하자 모든 학생들이 그 한 학생을 위해 마치 모든 학생들이 모두 같은 장애를 가진 사람 처럼 기다려 주며 그 장애인이 자존심 상해하거나 부끄러워하지 않도록 했다는 얘기는 잘 알려진 이야기 이다.

우리나라 교육의 진정한 목표가 국제화·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인재양성이라면 먼저 인성교육이 우선 과제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장애를 입은 우리나라의 장애인들에 대한 인식개선과 더불어 사회 구석구석이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없는 환경제공에 교육계가 앞장서서 실천해야 할 것이다.

어는 한 나라가 선진국인지 후진국인지를 가늠하는 척도는 장애인에 대한 정책·제도라 했다.

장애인을 일반인과 약간의 ‘차이’가 있는 동등한 인격체로 여겨 실제로 사회 모든 환경에 변화를 시도하며 더불어 하나되는 사회를 이루어 나갔으면 좋겠다.


김지수 / 영동교육청 홈페이지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조길형 충주시장 "부담 없는 시민골프장 추진"

[충북일보] 조길형 충주시장이 공익적 차원에서 시민골프장 조성 계획을 세우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비싸진 골프장 요금과 관련해 시민들이 골프를 부담 없이 즐길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인데, 갑론을박이 뜨겁다. 자치단체장으로서 상당히 부담스러울 수 있는 시민골프장 건설 계획을 어떤 계기에서 하게됐는지, 앞으로의 추진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여부에 대해 들어보았다. ◇시민골프장을 구상하게 된 계기는. "충주의 창동 시유지와 수안보 옛 스키장 자리에 민간에서 골프장 사업을 해보겠다고 제안이 여럿 들어왔다. '시유지는 소유권 이전', '스키장은 행정적 문제 해소'를 조건으로 걸었는데, 여러 방향으로 고심한 결과 민간에게 넘기기보다 시에서 직접 골프장을 만들어서 시민에게 혜택을 줘야겠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충주에 골프장 많음에도 정작 시민들은 이용할 수가 없는 상황이 안타까웠다." ◇시민골프장 추진 계획은. "아직 많이 진행되지는 않았지만, 오랜 기간의 노력을 들여 전체 과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볼 수 있는 시민의 공감을 확보했다. 골프장의 필요성과 대상지에 대해 시민들이 고개를 끄덕여 주셨다. 이제는 사업의 실현가능성 여부를 연구하는 용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