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 CBO(1천625억)·건설사 CBO(530억) 동시 발행
[충북일보] 이범석 청주시장의 신청사 건립 추진이 난기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임 한범덕 시장 당시부터 '발목'을 잡아온 청주병원 이전 문제는 매듭을 짓지 못했고, 시청 본관동 철거와 관련해선 시민사회단체와 더불어민주등의 반발에 직면했다. 14일 청주시에 따르면 청주지방법원은 15일 오전 청주병원을 방문해 신청사 건립관련 강제집행 2차 계고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청주병원 부지는 신청사가 들어설 예정인 북문로 3가 일대에 포함돼 있다. 시는 청주병원 부지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했지만, 청주병원 측은 이전하지 않은 상태다. 청주지법은 지난 10월 17일 청주병원에 1차 계고장을 전달했다. 이날 전달된 계고장은 11월 14일까지 퇴거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강제집행에 나선다는 경고가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청주지법의 계고장 전달은 청주시의 승소에 따라 이뤄졌다. 시는 '토지 및 건물 인도 청구소송(명도소송)' 1·2심 승소 판결을 토대로 지난 9월 16일 법원에 강제집행을 신청했다. 시의 승소 판결문엔 가처분 할 수 있다는 근거가 담겼다. 청주병원 측은 시의 승소, 1차 계고장에도 퇴거에 응하지 않았다. 이에 15일 2차 계고장 전달이
[충북일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191㎞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 강동구 길동, 명일동, 고덕동 일대 지하를 대형 터널을 통해 관통한다는 계획으로 강동구 주민들이 고속도로 우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17년 예산안에 서울~안성 구간의 건설보상비 1천억원이 편성됐으며 전체 예산규모는 6조7천억 원이다. 정부는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서울~안성 구간(71.1㎞)은 도로공사에서 착수 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고, 안성~세종(57.7㎞)은 처음부터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지난 2009년 건설계획이 최초로 제시됐으나 주민 반대와 사업방식에 대한 정부 내 이견으로 수차례 지연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11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가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진행 방식 자체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이는 당장 오는 2017년 관련 예산 편성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착공 자체도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대목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7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책자를 통해 "설계비·공사비
[충북일보] 이범석 청주시장의 신청사 건립 추진이 난기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임 한범덕 시장 당시부터 '발목'을 잡아온 청주병원 이전 문제는 매듭을 짓지 못했고, 시청 본관동 철거와 관련해선 시민사회단체와 더불어민주등의 반발에 직면했다. 14일 청주시에 따르면 청주지방법원은 15일 오전 청주병원을 방문해 신청사 건립관련 강제집행 2차 계고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청주병원 부지는 신청사가 들어설 예정인 북문로 3가 일대에 포함돼 있다. 시는 청주병원 부지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했지만, 청주병원 측은 이전하지 않은 상태다. 청주지법은 지난 10월 17일 청주병원에 1차 계고장을 전달했다. 이날 전달된 계고장은 11월 14일까지 퇴거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강제집행에 나선다는 경고가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청주지법의 계고장 전달은 청주시의 승소에 따라 이뤄졌다. 시는 '토지 및 건물 인도 청구소송(명도소송)' 1·2심 승소 판결을 토대로 지난 9월 16일 법원에 강제집행을 신청했다. 시의 승소 판결문엔 가처분 할 수 있다는 근거가 담겼다. 청주병원 측은 시의 승소, 1차 계고장에도 퇴거에 응하지 않았다. 이에 15일 2차 계고장 전달이
[충북일보]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은 "도체육회의 자립을 위해서는 재정자율화가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윤 회장은 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3년 간 민선 초대 도체육회장을 지내며 느낀 가장 시급한 일로 '재정자율화'를 꼽았다. "지난 2019년 민선 체육회장시대가 열렸음에도 그동안에는 각 사업마다 충북지사나 충북도에 예산 배정을 사정해야하는 상황이 이어져왔다"는 것이 윤 회장은 설명이다. 윤 회장이 '재정자율화'를 주창하는 이유는 충북지역 각 경기선수단의 경기력 하락을 우려해서다. 도체육회가 자체적으로 중장기 사업을 계획하고 예산을 집행할 수 없다보니 단순 행사성 예산만 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선수단을 새로 창단한다거나 유망선수 육성을 위한 인프라 마련 등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달 울산에서 열린 103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충북은 종합순위 6위를 목표로 했지만 대구에게 자리를 내주며 7위에 그쳤다. 이같은 배경에는 체육회의 예산차이와 선수풀의 부족 등이 주요했다는 것이 윤 회장의 시각이다. 현재 충북도체육회에 한 해에 지원되는 예산은 110억 원으로, 올해 초 기준 전국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