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08.01.09 22:29:50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저와 집사람은 제천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까지 다녔고 본가, 처갓집 모두 제천에서 거주하고 있습니다.

저와 집사람은 사회생활을 타지에서 하면서 2002년도 결혼을 했습니다.

결혼 후 부모님이 연로한 탓에 1주일에 한 번씩은 제천에 내려오곤 했지요.

또한 주마다 상조회 및 동문회등 각종 모임도 참석하고 있고요.

작년에 3째 아이를 3월쯤에 임신해 제천 보건소에 문의하여 집사람과 아이들을 제천으로 이사하려고 지난해 5월경에 문의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는 제천에 연고가 예전에 있었고 또한 이사를 하면 3째 아이를 출산하면 지원이 가능하다고 들었는데 2007년 7월 이사 후에 보건소에 문의한 결과 부모가 1년 이상 거주하고 현재는 출산일이 08년 1월이 예정일이니까 6개월만 지원된다고 하더군요.

각 시군별로 3째 아이 지원되는 조례가 틀리겠지만 아이들과 집사람은 일평생을 살아야 하는 입장입니다.

그런데 꼭 1년 이상 거주하면 지원된다는 것은 너무 불공평한 지원방침이라고 생각됩니다.

저와 집사람은 20년이 넘게 제천에서 거주했고 또한 저희 본가와 처가집도 몇십년간 터를 잡고 생활하고 있습니다,

저는 항상 마음만은 제천인의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학교 동문발전에도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한사람입니다,

3째 아이 지원방안을 재차 검토하시어 수용바라며 끝으로 제천의 발전을 기원하겠습니다.


김성수 / 제천시청 홈페이지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신년> 나경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인터뷰

[충북일보] ◇취임 두 달이 지났다. 그동안의 소회 말씀해 달라 2016년 국회 저출산고령사화특귀 위원장을 하면서 출산율 제고와 고령화 정책에 집중했다. 지난 6년간 대한민국 인구구조는 역피라미드로 갈 수밖에 없는 흐름이다. 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인구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큰 틀에서의 인구미래전략이 필요하다. 취임 후 위원회가 해온 일을 살펴보고 관계부처, 관련 전문가, 지자체, 종교계, 경제단체 등 각계각층과 의견을 나눴는데 아직 연계와 협력이 부족하다. 위원회가 정책을 사전에 제안하고 부처 간 조정 역할을 강화해 인구정책 추진에 매진할 계획이다. ◇인구정책 컨트롤타워로서 위원회의 인구미래전략 비전과 방향은 현재 극심한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구조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위원회는 피할 수 없는 초고령사회를 대비하는 '미래 100년 준비'를 시작한다. 인구구조에 영향을 받는 산업, 교육, 국방, 지역 등 전 분야의 준비를 통해 사회구성원 모두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탄탄한 미래를 설계하고자 한다. 인구구조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출산율 제고는 반드시 필요하다. 새해에는 '2023년 응애! 응애! 응애!' 구호를 펼친다. 젊은 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