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볼빅 골프단, 이일희 등 신규선수 영입

여자 선수단 9명 최종 확정…남자 선수단 이달초 확정 예정

  • 웹출고시간2012.01.04 10:28:32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볼빅 2012 여자 선수단

음성군 대소면에 생산공장을 둔 국산 골프공 제조업체 ㈜볼빅(회장 문경안)이 2012년 신규 여자 프로선수들을 영입해 볼빅 골프단을 새롭게 구성했다.

볼빅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에서 활약하는 이일희(24)를 비롯해 지난 '2011 Golden Age Cup 대우증권 클래식'에서 4위를 기록한 윤지영(26), 이보리(29), 임선욱(29) 등 4명의 여자선수를 신규로 영입했다. 이로써 볼빅은 기존의 최혜정(28)을 포함해 4명의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선수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에서 활약하고 있는 이지영(25), 박진영(26), 최운정(22), 이미향(19) 등 총 9명의 여자 선수단을 구성하게 됐다.

스폰서 계약 불이행 문제로 2010년 한해 고전을 면하지 못했던 이일희 프로의 경우 "새로운 스폰서를 맞아 마음에 안정을 찾고 있다. 이제 열심히 할 일만 남았으니, 2012년도에는 LPGA무대에서 국산볼로 꼭 우승을 하겠다"는 굳은 각오를 다졌다.

다음달에 고등학교 졸업을 앞두고 있는 이미향 선수는, 2010~2011년 국가대표상비군등을 지내며 주니어시절 쭉 볼빅의 후원을 받아왔다. 시드전에서 29위를 차지해 올해 첫 LPGA무대에 진출한 새내기 선수이지만, 야무진 스윙으로 2010년 9월 KLPGA 대우증권 클래식에 추천선수로 나가 아마추어 부분에서 1위, 전체 순위는 19위를 차지한 저력있는 선수이다.

볼빅의 문경안 회장은 "실력있는 선수들을 적극적으로 후원해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볼빅 공의 우수성을 보여줄 것이며, 국내 뿐 아니라 세계무대에서도 반드시 입증해 보이겠다" 라는 뜻을 밝혔다.

한편 LPGA무대에서 활약하다 국내 무대로 복귀한 뒤 'Nefs Masterpiece 2011' 대회에서 2위를 기록하는 등 베테랑의 저력을 보여주는 박희정(32)과 LPGA와 KLPGA에서 활약중인 배경은(27), LPGA 선수인 로라디아즈(Diaz, Laura) 도 서브스폰서계약을 체결하고 볼빅볼을 사용한다.

볼빅이 후원하는 선수는 프로선수를 비롯, 아마추어,골프 꿈나무까지 약150여명으로 국내 최대규모의 골프단을 이끌어 가고 있다. 컬러볼 열풍의 주역인 ㈜볼빅은 2011년 약23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올해는 500억원의 매출 달성을 계획하고 있다. 볼빅은 이달 초에 남자 프로 선수들도 확정할 예정이다.

음성 / 남기중기자 nkjlog@hanmail.net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 "재정 자율화 최우선 과제"

[충북일보]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은 "도체육회의 자립을 위해서는 재정자율화가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윤 회장은 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3년 간 민선 초대 도체육회장을 지내며 느낀 가장 시급한 일로 '재정자율화'를 꼽았다. "지난 2019년 민선 체육회장시대가 열렸음에도 그동안에는 각 사업마다 충북지사나 충북도에 예산 배정을 사정해야하는 상황이 이어져왔다"는 것이 윤 회장은 설명이다. 윤 회장이 '재정자율화'를 주창하는 이유는 충북지역 각 경기선수단의 경기력 하락을 우려해서다. 도체육회가 자체적으로 중장기 사업을 계획하고 예산을 집행할 수 없다보니 단순 행사성 예산만 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선수단을 새로 창단한다거나 유망선수 육성을 위한 인프라 마련 등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달 울산에서 열린 103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충북은 종합순위 6위를 목표로 했지만 대구에게 자리를 내주며 7위에 그쳤다. 이같은 배경에는 체육회의 예산차이와 선수풀의 부족 등이 주요했다는 것이 윤 회장의 시각이다. 현재 충북도체육회에 한 해에 지원되는 예산은 110억 원으로, 올해 초 기준 전국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