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1.07.25 09:06:37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이번에는 마이클 펠프스(26·미국)다. 기적의 레이스로 4년 만에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거머쥔 박태환(22·단국대)이 2관왕에 도전한다.

박태환은 25일 오전 중국 상하이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에서 열리는 2011 국제수영연맹(FINA) 세계선수권 남자 자유형 200m 예선에 출전한다. 박태환은 자유형 400m 우승 기쁨을 잠시 접어둔 채 다른 목표인 200m를 위해 다시 물살을 가른다.

당초 자유형 200m의 목표는 메달권 진입이었다. 아시아와는 달리 세계 무대에는 박태환을 견제할 쟁쟁한 선수들이 즐비하다. 신체 조건이 불리한 박태환에게는 메달권 진입도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자유형 400m에서 기분 좋은 스타트를 끊으며 200m도 해볼 만 하다는 자신감을 쌓았다.

그저 호기만 부리는 것은 아니다. 세계선수권을 앞두고 박태환의 훈련 모습을 지켜본 대한수영연맹 관계자들은 "몸이 정말 좋다. 근육이 단거리에 맞춰져 잘 발달됐다"고 혀를 내둘렀다.

박태환은 마이클 볼 코치의 지도 아래 6개월 간의 지옥훈련을 소화했다. 볼 코치는 박태환이 애착을 보이던 1500m를 과감하게 포기하도록 했다. 아시안게임에서 은메달을 거두는 등 괜찮은 행보를 보였지만 한 단계 성장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반 년 가까운 박태환의 훈련과정을 함께 한 박태환 전담팀의 한 관계자는 대회 개막에 앞서 "자유형 200m를 가장 먼저 했다면 충분히 금메달을 땄을 것이다. 그만큼 이번 훈련이 잘 됐다"고 자신했다.

200m 우승을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은 '펠피시' 펠프스다. 2008베이징올림픽에서 자유형 200m를 포함해 총 8개의 금메달을 거머쥔 펠프스는 한때 마리화나 사건에 휘말리는 등 슬럼프를 겪었지만 예년의 모습과 가까워졌다는 평가다.

박태환에게는 지난 달 예비고사에서 펠프스에게 압승을 거둔 좋은 기억이 있다. 당시 컨디션 점검차 2011 산타클라라 국제그랑프리에 참가한 박태환은 남자 자유형 100m에서 48초92를 기록해, 49초61의 펠프스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비록 남자 자유형 100m였고 비중이 큰 대회는 아니었지만 그동안 넘지 못할 산으로만 여겨졌던 펠프스를 꺾은 것만으로도 자신감을 얻기에 충분했다. 라이언 록티(27·미국), 파울 비더만(25·독일)도 경계 대상이다.

박태환은 예선 8조 4레인을 배정 받았다. 비더만이 5레인에서 박태환과 경쟁하며 록티와 펠프스는 7조에 속했다. 전체 52명의 선수 중 16명에게만 오후 열리는 준결승 출전 기회가 주어진다.

기사제공:뉴시스(http://www.newsis.com)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 "재정 자율화 최우선 과제"

[충북일보]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은 "도체육회의 자립을 위해서는 재정자율화가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윤 회장은 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3년 간 민선 초대 도체육회장을 지내며 느낀 가장 시급한 일로 '재정자율화'를 꼽았다. "지난 2019년 민선 체육회장시대가 열렸음에도 그동안에는 각 사업마다 충북지사나 충북도에 예산 배정을 사정해야하는 상황이 이어져왔다"는 것이 윤 회장은 설명이다. 윤 회장이 '재정자율화'를 주창하는 이유는 충북지역 각 경기선수단의 경기력 하락을 우려해서다. 도체육회가 자체적으로 중장기 사업을 계획하고 예산을 집행할 수 없다보니 단순 행사성 예산만 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선수단을 새로 창단한다거나 유망선수 육성을 위한 인프라 마련 등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달 울산에서 열린 103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충북은 종합순위 6위를 목표로 했지만 대구에게 자리를 내주며 7위에 그쳤다. 이같은 배경에는 체육회의 예산차이와 선수풀의 부족 등이 주요했다는 것이 윤 회장의 시각이다. 현재 충북도체육회에 한 해에 지원되는 예산은 110억 원으로, 올해 초 기준 전국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