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이동국 "회복에 집중" · 박주영 "통증 없다"

부상 선수 이동국 · 김재성 · 박주영, 빠른 회복 자신

  • 웹출고시간2010.05.19 15:53:29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많이 좋아졌습니다."

부상 악재에도 불구하고 26명 2차 예비엔트리에 이름을 올린 이동국(31 · 전북)과 김재성(27 · 포항)이 2박3일간의 짧은 휴가를 마치고 파주NFC(국가대표트레이닝센터)로 돌아왔다.

17일 허벅지 부상으로 3주 진단을 받아든 이동국은 19일 다시 찾은 파주NFC에서 "통증은 많이 좋아졌다"면서 "아무 생각하지 않고 부상 회복에만 집중하겠다"는 비장한 각오를 밝혔다.

이동국은 16일 에콰도전 평가전에 선발 출장했으나 후반 21분 허벅지 통증을 호소하며 교체를 요청했고, 정밀검사 결과 지난달부터 좋지 않았던 오른 허벅지 뒷근육이 찢어졌다는 진단과 함께 3주간의 재활을 요한다는 소견을 받아 들었다.

이에 따라 30명 예비 엔트리 가운데 26명을 추리는 2차 엔트리 발표를 앞두고 탈락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대두되기도 했다. 하지만 허정무 축구대표팀 감독은 "6월1일(FIFA 최종엔트리 마감일)까지 지켜보겠다"면서 판단을 유보, 일단 이동국의 대표팀 잔류를 결정했다. 따라서 23명 최종 엔트리에 들기 위해 빠른 회복이라는 변수를 안게 된 이동국은 부담감 탓인지 이날 비교적 어두운 표정을 보였다.

반면 에콰도르전에서 발목을 다쳤던 김재성의 얼굴은 환했다. "발목을 처음 다쳐봐서 상당히 놀랐다"는 김재성은 "26명 엔트리에서 빠질까봐 걱정을 했는데 주치의 선생님 등이 큰 부상이 아닐 거라고 말해주셔서 마음을 놓았다"면서 "많이 괜찮아졌고 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 26명이 최종 명단이 아니기 때문에 최종 23명 안에 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다부진 각오를 밝혔다.

에콰도르전에 선발 출장했던 김재성은 후반 37분 드리블 과정에서 상대 선수에게 오른 발목을 밟히며 그라운드에 쓰러져 이동국과 함께 정밀 검사를 받은 바 있다. 그러나 다행히 인대와 뼈에는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받으면서 26명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허벅지 부상으로 조기 귀국했던 박주영(25 · AS모나코)도 순조로운 부상 회복을 알렸다. 박주영은 "휴가로 받은 이틀 동안 쉬기도 했지만 치료와 재활을 병행하면서 훈련 생각을 많이 했다"면서 "현재는 통증도 없어 훈련에 지장이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겠다"면서 "남아공월드컵에 몸을 100% 맞춰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리그 경기 중 허벅지를 다쳐 시즌을 마무리하지 못한채 지난 7일 조기 귀국했던 박주영은 대표팀 합류 후 재활에 매달려왔으며 16일 에콰도르전에 결장한 바 있다.

기사제공:노컷뉴스(http://www.cbs.co.kr/nocut/)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재황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장 인터뷰

[충북일보]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이 올해 창립 10주년을 맞았다.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의 메카인 충북 오송에 둥지를 튼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은 지난 10년간 산업단지 기업지원과 R&D, 인력 양성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해 쉼없이 달려왔다. 지금까지의 성과를 토대로 제2의 도약을 앞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이 구상하는 미래를 정재황(54) 원장을 통해 들어봤다. 지난 2월 취임한 정 원장은 충북대 수의학 석사와 박사 출신으로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충북도립대 기획협력처장을 역임했고, 현재 바이오국제협력연구소장, 충북도립대 바이오생명의약과 교수로 재직하는 등 충북의 대표적인 바이오 분야 전문가다. -먼저 바이오융합원에 대한 소개와 함께 창립 10주년 소감을 말씀해 달라.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이하 바이오융합원)은 산업단지 기업지원과 R&D, 인력양성이융합된 산학협력 수행을 위해 2012년 6월에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바이오헬스 분야 산·학·연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창업 생태계 조성과 기업성장 지원, 현장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등의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그동안 충북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부 재정지원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