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한국은행이 머신러닝(ML)을 기반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오는 9월 2.0% 내외까지 둔화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았다.
한은은 26일 BOK이슈노트 '품목별 머신러닝 예측을 통한 단기 물가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확한 인플레이션 전망이 어려운 과제로 남아있음에 따라 단기 인플레이션 예측력 향상을 위한 머신러닝 기법과 상향식 추정을 결합한 예측모형을 개발했다.
개발한 상향식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8월과 9월의 인플레이션을 추정해본 결과, 7월 2.6%로 소폭 반등했던 상승률은 8월 2.1%내외, 9월 2.0% 내외로 다시 둔화되는 것으로 예상됐다.
상향식 모양의 평균 예측 오차는 8월 0.14%p, 9월 0.19%p 정도다.
품목별 가격 상승률에 대한 모형 예측에 따르면, 비근원(식료품·에너지) 품목인 농산물 가격 오름세가 양호한 기상여건 등으로 완만한 둔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오름세가 확대되던 석유류 가격 상승률은 최근 국제 유가 하락 등을 반영해 둔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가공식품 가격 상승률은 2% 내외로 예상된다.
근원 품목의 경우 최근 더딘 소비 회복세 등의 영향으로 가격 상승률이 2%를 밑돌것으로 전망됐다.
근원서비스물가(집세 제외) 상승률은 2%대 중반 수준에서 완만한 오름세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집세는 그간 전세가격 지수 상승세 등이 반영되면서 완만한 상승을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이같은 예측의 배경에는 지난해 8월 유가와 농산물 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석유류는 8~9월, 농축수산물은 8·10월 기저효과가 커 당분간 소비자물가 하방 압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이후에는 지난해 연말 유가 하락 등이 반대 방향의 기저효과로 작용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다소 제약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앞으로 물가 흐름은 공급 충격이 크게 발생하지 않는 한 목표수준을 향해 안정적으로 수렴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지정학적 정세, 기상여건, 공공요금 인상 시기와 폭 등에 따라 농산물·석유류 등 비근원품목의 월별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리스크는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 성지연기자